- 도시건축학전공
-
“미래 사회에 대한 통찰력과 실천적 전문성을 갖춘 도시건축 인재 양성”
도시건축학 전공은 도시와 건축 스케일에서 공간환경을 기획, 계획, 설계, 조성, 관리 및 운영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지역과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소양과 지식을 갖춘 전문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한국건축학교육인증을 받은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건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도시건축학부 도시건축학전공 수여 학위
도시건축 전문가로서 창의적 디자인 역량과 충실한 실무 능력을 배양
본 교육과정은 전문가로서 공적 책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혁신성과 합리성을 갖춘 디자인을 제시하며 이를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 도시 건조환경의 안전과 포용성, 지속가능성을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실무적 지식을 갖춘 도시건축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한 단계적 커리큘럼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에 맞는 도시건축의 전문 영역을 탐색하고 구체화하며 그에 필요한 학습과 경험을 주체적으로 구성한다.
미래사회에 대한 통찰력과 유연성을 가진 통섭적 지식인 양성
현대 도시 공간의 구조와 형태, 그 이면의 이해관계와 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사고하는 능력과 식견을 갖추고, 새로이 등장하는 기술과 사회 구조적 변화가 가져올 도시 건조환경의 구축과 이용 방식의 혁신을 이끌 수용성과 통찰력을 키운다.
지역사회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도시건축 전문 집단
수도권 내 제2의 대도시이자 다양한 인문·지리적 요소를 품고 있으며 확장적 도시 성장을 지속해 온 인천 지역의 공간 구조적 특수성을 깊이 이해하고, 구체적인 장소와 현안에 대해 건축 및 공간환경적 해법을 제시하여 지역 사회의 발전을 위한 지식 축적에 기여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도시건축 전문가가 지역사회에서 수행해야 할 확장적 역할을 체득한다.
본 교육과정은 전문가로서 공적 책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혁신성과 합리성을 갖춘 디자인을 제시하며 이를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 도시 건조환경의 안전과 포용성, 지속가능성을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실무적 지식을 갖춘 도시건축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한 단계적 커리큘럼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에 맞는 도시건축의 전문 영역을 탐색하고 구체화하며 그에 필요한 학습과 경험을 주체적으로 구성한다.
미래사회에 대한 통찰력과 유연성을 가진 통섭적 지식인 양성
현대 도시 공간의 구조와 형태, 그 이면의 이해관계와 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사고하는 능력과 식견을 갖추고, 새로이 등장하는 기술과 사회 구조적 변화가 가져올 도시 건조환경의 구축과 이용 방식의 혁신을 이끌 수용성과 통찰력을 키운다.
지역사회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도시건축 전문 집단
수도권 내 제2의 대도시이자 다양한 인문·지리적 요소를 품고 있으며 확장적 도시 성장을 지속해 온 인천 지역의 공간 구조적 특수성을 깊이 이해하고, 구체적인 장소와 현안에 대해 건축 및 공간환경적 해법을 제시하여 지역 사회의 발전을 위한 지식 축적에 기여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도시건축 전문가가 지역사회에서 수행해야 할 확장적 역할을 체득한다.
도시건축학전공 심화트랙
건축설계트랙
한국건축학교육인증 기준에 따른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건축의 계획 및 설계, 건축 이론 및 역사, 건축 제도와 정책, 구조‧환경‧시공 등 기술 실무 기초 등 건축 전반을 학습한다. 졸업 후 건축 및 인테리어 설계, 건설 분야 기업이나 건축 및 시설 관리와 도시개발 관련 공기업 및 공무원 등 다양한 건축 직군에서 활동한다. 건축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서는 학사과정(4년) 졸업 후 건축설계 심화과정인 건축학 석사과정(2년)에 진학해야 한다.
졸업 후 진로:
건축설계 및 인테리어 설계사무소, 건설사, 공사 및 공단 등 공기업, 시청‧교육청 등 공공기관, 건축 BIM 디자인‧개발 및 관리
도시설계트랙
도시 공간환경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하며, 집합적인 공간환경을 다루는 도시설계와 쇠퇴한 도시의 활성화와 정비를 위한 도시재생, 도시 공간의 제도와 정책을 학습한다. 졸업 후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 지역 계획 전문 기업과 관련 공기업 및 공무원으로 진출한다. 도시설계 전공 공학석사로 진학하여 지자체 및 국책 연구소 등 연구직으로 진로를 확장할 수 있다.
졸업 후 진로: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 엔지니어링, 건설사, 공사 및 공단, 시청 등 공공기관, 지자체 및 국가 정책 연구소
한국건축학교육인증 기준에 따른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건축의 계획 및 설계, 건축 이론 및 역사, 건축 제도와 정책, 구조‧환경‧시공 등 기술 실무 기초 등 건축 전반을 학습한다. 졸업 후 건축 및 인테리어 설계, 건설 분야 기업이나 건축 및 시설 관리와 도시개발 관련 공기업 및 공무원 등 다양한 건축 직군에서 활동한다. 건축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서는 학사과정(4년) 졸업 후 건축설계 심화과정인 건축학 석사과정(2년)에 진학해야 한다.
졸업 후 진로:
건축설계 및 인테리어 설계사무소, 건설사, 공사 및 공단 등 공기업, 시청‧교육청 등 공공기관, 건축 BIM 디자인‧개발 및 관리
도시설계트랙
도시 공간환경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하며, 집합적인 공간환경을 다루는 도시설계와 쇠퇴한 도시의 활성화와 정비를 위한 도시재생, 도시 공간의 제도와 정책을 학습한다. 졸업 후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 지역 계획 전문 기업과 관련 공기업 및 공무원으로 진출한다. 도시설계 전공 공학석사로 진학하여 지자체 및 국책 연구소 등 연구직으로 진로를 확장할 수 있다.
졸업 후 진로: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 엔지니어링, 건설사, 공사 및 공단, 시청 등 공공기관, 지자체 및 국가 정책 연구소
도시건축학 전공 수여 학위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전공의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은 학부과정과 석사과정을 연계한 프로그램이다. 학사과정을 졸업하고, 대학원의 건축학인증 프로그램의 석사과정 입학 자격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학부과정만을 졸업할 경우 공학사(Bachelor of Engineering) 학위가 수여되며, 건축학인증 프로그램 석사과정을 졸업할 경우에만 건축학교육 인증에 따르는 건축학석사(Master of Architecture) 학위가 수여된다.
공학석사 프로그램과 공학박사 프로그램은 건축계획 및 이론, 도시설계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공학석사 프로그램은 학부과정과 학석사연계 과정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공학석사와 건축학석사 졸업자 모두 공학박사 프로그램에 지원할 수 있다.
공학석사 프로그램과 공학박사 프로그램은 건축계획 및 이론, 도시설계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공학석사 프로그램은 학부과정과 학석사연계 과정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공학석사와 건축학석사 졸업자 모두 공학박사 프로그램에 지원할 수 있다.
학위 | 수업연한 | 졸업학점 | 학위명 |
---|---|---|---|
학사 | 4 년 | 130 | 공학사 (Bachelor of Engineering) |
학 · 석사 | 3.5 년 (학사) 1.5 년 (석사) |
130 (학사) 24 (석사) |
공학사 (Bachelor of Engineering) 공학석사 (Master of Engineering) |
석사 | 2 년 | 24 | 공학석사 (Master of Engineering) |
석사 | 2년 | 36 | 건축학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
박사 | 2년 | 36 | 공학박사 (Ph.D. of Engineer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