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aksaSbj,fnctNo=21
-
- 공통 1학기 [0009062] RISE (RISE)
- 학생 및 교원 연구역량강화를 위한 연구집약적 자기주도 교육
-
- 1학년 1학기 [XAA1358] 대학수학(1) (CALCULUS(1))
- 함수의 극한과 연속, 도함수, 극좌표, 부정적분 및 정적분등 수학의 기본 이론을 다룬다.
-
- 1학년 1학기 [0002402] 대학화학 (University chemistry)
- 화학의 기본 제법칙, 열역학의 기초이론, 원자 및 분자이론, 용액론, 상평형 및 화학평형, 반응속도론, 전기화학, 유기화학 및 생화학의 기본 등 화학전반에 걸쳐 비교적 광범위하고 정도가 약간 높은 기초화학 지식을 취급한다.
-
- 1학년 1학기 [0002399] 물리(1) (Physics(1))
- 물리학의 기본 원리와 물리적 현상을 이해하고, 양의 측정, 일과 에너지, 역학, 열역학 등의 이공학도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적 물리지식을 습득한다.
-
- 1학년 2학기 [EH06049] 재료공학개론 (INTRODUCTION TO MATERIALS ENGINEERING)
- 현대공학과 산업기술 발전의 밑바탕을 이루고 있는 신소재에 관한 정의와 개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첨단신소재들의 이해에 필요한 최소한의 재료과학의 기본 이론들을 설명한다. 그리고 최근의 첨단신소재에 관한원리와 제조방법, 응용에 관하여 강의한다.
-
- 1학년 2학기 [XAA1359] 대학수학(2) (CALCULUS(2))
- 대학수학(1)에 이어 편도함수, 중적분, 급수 및 행렬과 행렬식 등의 수학의 기본 이론을 다룬다.
-
- 1학년 2학기 [0002401] 물리(2) (Physics(2))
- 전기와 자기학, 원자와 핵물리학, 소립자 및 상대성 원리에 대한 일반적인 물리지식을 습득한다.
-
- 2학년 1학기 [0009478] 기초전기화학 (Basic Electrochemistry)
- 신에너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실에서 수소연료전지, 태양광을 비롯한 신에너지와 에너지 저장장치인 2차전지는 전기화학 반응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화학의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그 외에도 부식, 전기도금, 센서등 여러 분야에 전기화학의 개념이 응용된다. 본 강좌에서는 전기화학의 기본 이론을 이해하고 전기화학적 분석방법들에 대해서 배운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전기화학 응용분야를 분석하고 이해한다.
-
- 2학년 1학기 [EH06066] 현대물리학 (MODERN PHYSICS)
- 본 수업은 1900년대 이후에 정립된 현대물리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재료공학에 관련되는 물리학적 지식을 공부한다.
-
- 2학년 1학기 [EQA6068] 금속재료 (INTRODUCTION TO METALLURGY)
- 금속재료의 제조공정 및 열처리에 대한 이해가 주목적으로서 철강, 알루미늄, 구리 등의 제조 공정을 다룬다.
-
- 2학년 1학기 [0011497] 에너지재료공학개론 (Introduction to Energy Materials and Engineering)
- 본 교과목은 기존 화석 에너지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청정 에너지원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이와 더불어, 신재생 에너지 개발에 필요한 기본 공학 개념 및 원리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태양 전지, 연료 전지, 수소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전환, 이차전지, 에너지 저장, 인공 광합성 등과 같은 실질적인 에너지 분야의 기술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다양한 에너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물성 및 특성에 대해 배우게 되며, 이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 개발을 위한 적절한 재료 선택과 설계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
- 2학년 1학기 [0011498] 전자재료공학개론 (Introduction to Electronic Materials Engineering)
- 반도체 소자 및 시스템을 구성하는 재료와 공학적 원리에 대한 기초 개념을 다루는 과목으로 반도체 소재, 유전체, 금속 소재의 물성과 트랜지스터 등 반도체 소자 작동 원리를 학습함.
-
- 2학년 2학기 [0000018] 신소재공학실험(1) (Advanced Materials Science Lab(1))
- 신소재공학에 필수적인 화학분야에 관한 실험으로, 실험실 안전 및 각종 실험기자재의 사용법 숙지, 측정법 및 결과정리, 결과해석법, 가공에 관한 기초실험, 정성 및 정량분석에 관한 실험을 통해 신소재공학의 기본 지식을 습득시킨다.
-
- 2학년 2학기 [EQA6046] 재료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MATERIALS)
- 재료의 결정구조는 어떤 요인에 의하여 좌우되는지 원자의 내부구조와 원자간의 결합상태, 원자 혹은 이온의 크기 등이 결정구조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보고, 금속결합 구조의 종류 및 특징 등을 알아보고, 재료의 결정 구조와 성질, 반도체 재료 구조의 특징 등을 알아보고, 재료의 결정구조를 좌우하는 요소와 결정구조 및 그 구조로부터 기인하는 특정과의 관계를 이해한다.
-
- 2학년 2학기 [EQA6009] 고체구조및결함 (STRUCTURE AND DEFECTS OF THE SOLIDS)
- 고체 속에 존재하는 결함의 발생 및 이용에 대한 이해 증진.
-
- 2학년 2학기 [EQA6105] 반도체물성론 (SEMICONDUCTOR PHYSICS)
- 반도체소자를 구성하고 있는 반도체 재료들의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며, 즉 반도체소자에 응용되는 재료의 구조, ENERGY BAND, 대전된 입자의 운동에 이해 등을 통한 전자 소자의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화학적 물성 개념을 이해한다.
-
- 2학년 2학기 [0011499] 에너지소자공정 (Energy Devices and Processing)
- 본 교과목은 에너지 소자의 제조 공정에 대한 기본 개념과 원리를 다루는 과목입니다. 다양한 전자기 이론과 전기기기의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에너지 변환 기기의 구성 및 동작 특성을 학습합니다. 더 나아가, 태양 전지, 연료 전지, 반도체 및 기타 에너지변환 소자의 구조, 작동 원리, 제조 및 공정 등을 학습하여, 학생들이 차세대 에너지 기술 분야에서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에너지 소자를 개발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합니다.
-
- 2학년 2학기 [ED06089] 재료역학 (MECHANICS OF METERIALS)
- 부재의 응력, 변형도, 응력-변형도 관계를 배우고, 작용하중과 응력사이의 관계를 파악한다. 또한 휨에 의한 처짐 곡선의 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기둥의 좌굴현상을 고찰한다.
-
- 2학년 2학기 [EQA6154] 전자패키지 (MICROELECTRONIC PACKAGING)
- 저학년 과정에서 배운 전공지식을 산업사회에 필요한 기술로 발전시키는 것이 본 학과목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 물리화학, 결정구조, 결함, 파괴역학, 등을 총체적으로 예습하면서 이들 다양한 재료의 특성을 필요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산업에 어떻게 연계되고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 2학년 2학기 [0010449] 재료공업수학 (Mathematics for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 본 과목에서는 미분방정식, 선형대수, Fourier해석, 및 복소해석 등의 수학적인 이론과 응용을 다룬다. 재료공학에서 필요한 수학적 기초를 다짐으로써 전공생들이 재료공학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 2학년 2학기 [EQA6057] 재료물리화학(1) (PHYSICAL CHEMISTRY FOR MATERIALS SCIENCE(1))
- 물질의 구조와 성질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상과 상 변화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학습한다.
-
- 3학년 1학기 [EQA6103] 재료의전기적성질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 재료의 미시적 세계에서 기본적인 전자기적 원리를 강의하고 그것을 금속과 반도체 그리고 초전도체 등의 성질 해석에 적용한다. 또한 재료의 전자기적 구조를 에너지 구조와 비교 이해한다.
-
- 3학년 1학기 [0010912] 재료컴퓨터해석 (Numerical analysis for materials science)
- 수치해석에 활용되는 다양한 수학적 방법들을 소개하고 컴퓨터를 활용하여 이들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알아본다. 이를 통해, 컴퓨터 계산을 통해 신소재공학과 관련된 다양한 수학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 3학년 1학기 [0011907] 박막공학 (Thin Film Technology)
- 박막공학은 수 나노미터에서 수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박막을 제조하고, 그 특성 및 응용을 연구하는 학문임. 이 과목은 박막의 증착 기술, 성장 메커니즘,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 등을 다룸. 또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센서와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박막이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학습함.
-
- 3학년 1학기 [EQA6106] 반도체집적회로공정 (Microelectronic Processing)
- 반도체 전자소자의 집적공정 개념 및 공정기술을 규소 메모리소자 집적공정으로 이해한다. 집적 단위공정의 응용기술을 재료공학 개념으로 교수하며 집적도에 대한 메모리소자별 공정기술을 이해함으로써 반도체 집적소자 설계 및 공정기술의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
- 3학년 1학기 [EQA6023] 분말야금학 (POWDER METALLURGY)
- 제조야금분야의 일종인 분말야금에 있어서 분말의 제조와 그 특성 및 제조된 분말의 성형기술에 대하여 폭 넓게 취급하며, 분말야금학의 기초가 되는 고상 및 액상소결이론에 대하여 상세히 강의한다. 그밖에 최근 분말야금의 응용기술에 대하여도 국내의 연구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분말야금 개설, 금속분말의 성형 및 소결, 기계재료, 초경공구재료, 전기재료, 자성재료, 내열재료의 용도와 특징에 관해 설명하고 소결이론을 상세히 강의함. 분말야금 개설, 금속분말의 성형 및 소결, 기계재료, 초경공구재료, 전기재료, 자성재료, 내열재료의 용도와 특징에 관해 설명하고 소결이론을 상세히 강의함.
-
- 3학년 1학기 [EQA6058] 재료물리화학(2) (PHYSICAL CHEMISTRY FOR MATERIALS SCIENCE(2))
- 재료물리화학은 물질들 간의 화학평형 및 물질거동에 관한 학문으로써 주어진 계의 평형상태와 외부 영향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열역학 제1법칙, 제2법칙 및 열역학 기본개념을 기초로 하여 가스 상들과 응축 상들이 포함된 반응의 평형을 이해하고 탄소에 의한 금속산화물들의 환원반응의 평형, 용액의 거동 및 Regular System에 대한 자유에너지 및 활동도를 학습하여 응축상들 간의 평형 및 이원계 상태도를 이해한다.
-
- 3학년 1학기 [0011908] 재료전자기학 (Materials Electromagnetics)
- 재료전자기학은 전자기적 특성을 지닌 다양한 재료의 원리와 응용을 연구하는 학문임. 이 과목은 전자기장의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재료의 전도성, 유전성, 자기성, 그리고 광학적 특성을 다룸. 또한, 이러한 재료들의 실생활에서의 응용, 예를 들어 전자기 소자 및 메모리 등에 대해 학습함.
-
- 3학년 1학기 [0011909] 전기화학응용 (Application of Electrochemistry)
- 본 강의는 에너지 소재(이차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및 반도체 공정에 활용되는 전기화학의 기본 원리와 응용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평형, 이온전도, 반응속도론, 물질전달 등의 기본 이론을 학습하고, 주사전위법, 임피던스 등의 전기화학 분석법을 통해 전기화학 기반의 에너지 소자 및 시스템의 원리를 이해합니다. 또한, 전기화학적 성능 평가 방법에 대한 실무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은 전기화학의 이론적 기초부터 실험 기술, 그리고 다양한 응용 분야까지 폭넓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
- 3학년 1학기 [0011910] 촉매공학 (Advanced Catalyst Engineering)
- 본 강의는 화학 반응에서의 촉매의 역할과 원리, 촉매의 설계 및 응용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수강생들은 촉매의 기초 개념, 반응 메커니즘, 촉매 활성 및 선택성에 대해 학습하게 됩니다. 또한, 산업 및 환경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종 촉매와 균일 촉매 및 다양한 나노 촉매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촉매 특성화 및 성능 평가 기법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촉매공학의 이론과 실제 응용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에너지, 환경, 화학 공정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한 촉매 개발 및 최적화를 위한 실무 능력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
- 3학년 2학기 [0000019] 신소재공학실험(2) (Advanced Materials Science Lab(2))
- 준평형상태에서 제조되는 bulk금속들의 응고 시에 나타나는 조직 및 특성을 관찰하고, 비평형상태에서 제조되는 금속박막의 제조공정 및 장비조작방법을 숙지하고, 조직 및 특성을 조사 관찰하여 평형상태에서 제조되는 이론적인 재료의 조직 및 특성과 비교함으로서 재료의 특성 및 조직을 제어하는 방법을 숙지시킨다.
-
- 3학년 2학기 [0009475] 재료열역학 (Materials Thermodynamics)
- 본 강의는 재료열역학의 중요성/응용성, 열역학 기본 개념 및 법칙, 고전열역학 및 통계열역학 일반, 자유에너지의 본질, 재료의 평형/비평형 상태 및 상 안정성, 상태도의 중요성/응용성, 단일 성분 계의 상태도에 대한 열역학적 해석 및 상태도 작성 법등을 주로 다룬다.
-
- 3학년 2학기 [EQA6116] 반도체소자공학 (SEMICONDUCTOR DIVICE ENGINEERING)
- 박막 반도체소자 재료들의 종류와 특성소개 및 특성이해를 통한 반도체 소자 BIPOLAR TRANSISTOR, MOSFET 등의 소자 특성을 강의한다.
-
- 3학년 2학기 [EQA6123] 반도체조립 (ELECTRONIC PACKAGING)
- 반도체 칩을 전자제품에 장착하기 위해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본 교과과정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교과에서는 다양한 반도체 조립방법을 습득하고 새로운 조립기술을 학생 스스로 디자인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 3학년 2학기 [EQA6109] 분체공학 (POWDER ENGINEERING)
- 금속과 세라믹 분체의 소결 이론을 기초로 기존의 전통 야금법과 공학의 장단점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신야금법을 제시하고 아울러서 간단한 제조실험을 통한 직접체험과 이에 수반되는 제조설비 및 제조공정에 대하여 소개한다.
-
- 3학년 2학기 [0001236] 이차전지공학 (Secondary Battery Engineering)
- 리튬 2 차 전지의 에너지 및 화학 공학의 주요 원리 이해, 리튬 2 차 전지 기술의 이해 및 전기 화학 및 구조 해석 방법을 통한 리튬 2 차 전지의 접근 및 연구 방법에 관한 체계적 토론. 본 과목에서는 리튬 이차 전지의 핵심 재료의 구조와 특성 및 특성에 대해서도 다룬다.
-
- 3학년 2학기 [0011911] 전자세라믹스 (Electronic Ceramics)
- 전자세라믹스는 전기적, 자기적, 열적 특성을 지닌 세라믹 재료를 연구하는 학문임. 이 과목에서는 세라믹스의 구조와 결합, 미세구조, 그리고 전자적, 유전적, 압전적 특성 등을 다룸. 또한, 전자세라믹스가 반도체, 센서, 에너지 저장 장치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어떻게 응용되는지에 대해 학습함.
-
- 4학년 1학기 [EQA6142] 상변태 (PHASE TRANSFORMATION)
- 용액중의 응축 상들의 자유에너지 변화에 따른 일성분계 및 이성분계 상태도 제작과정을 이해하고, 평형 및 비평형 냉각에 따른 상과 조직변화에 관련된 지식을 습득한다.
-
- 4학년 1학기 [0000022] 신소재공학실험(5) (Advanced Materials Science Lab(5))
- 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향상을 위한 기본지식 함양 및 관련 분야의 실습능력을 배양한다. 특별히, 본 교과에서는 반도체 제품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scratched silicon chip의 flexural strength 개선을 위한 plastic packaging 효과에 대한 실습을 중점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
- 4학년 1학기 [0005913] 스핀자성재료 (Spin and Magnetic Materials)
- 기초적인 원자스핀의 원리와 원자 스핀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자기현상을 이해하고, 자기 현상을 이용한 응용 예를 학습한다. 또한, 자성체를 이용한 디바이스 및 스핀트로닉스 응용 소자에 대한 기술 및 스핀 동역학 등 스핀재료 관련 분야 최근 연구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
- 4학년 1학기 [EQA6108] 재료의자기및광학적성질 (THE MAGNETIC AND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자전이에 관한 기본적 개념을 이해하고 재료의 광학적 성질과의 관계를 강의한다. 또한 재료의 상자성, 반자성, 강자성, 준강자성 등 자기적 특성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그것의 기능적 응용에 관한 지식습득을 수업 목표로 한다.
-
- 4학년 1학기 [0010451] 전산재료학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본 과목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한 수치해석 기반의 재료연구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분자동역학이나 제일원리계산과 같은 원자수준의 시뮬레이션 방법들에 대한 기초 이론을 학습하고 예제를 통해 학생들이 시뮬레이션을 통한 재료 연구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 4학년 1학기 [EQA6111] 진공공학 (VACUUM ENGINEERING)
- 기체의 기본 특성 및 진공 PUMP의 종류, 동작원리, 구조 등을 습득하여 반도체 및 신소재 제조공정으로의 응용을 위한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
- 4학년 2학기 [0000023] 신소재공학실험(6) (Advanced Materials Science Lab(6))
- 공학도로서 생활하면서 필요한 설계능력을 함유하기 위하여 기초적인 설계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나타내는 과정을 훈련한다. 그리고 정보사회에서 필요한 컴퓨터 설계을 배운다..
-
- 4학년 2학기 [0004222] 재료기기분석 (CHARACTERIZATION OF MATERIALS )
- 본 강좌는 재료의 특성발현을 해석 또는 고찰 시에 필수적으로 대두되는 성분분석 및 미세구조해석을 위한 기기 분석에 대해 이론적으로 다루며, 또한 재료물성(열적성질, 기계적 성질, 전기자기적성질, 자성적 성질, 광학적 성질 등)의 대표적인 측정 법에 관해 다루어, 각종 재료의 특성조사와 분석방법을 습득시키고자 한다.
-
- 4학년 2학기 [EQA6115] 박막재료 (THIN FILM MATERIALS)
- 전자재료, 비정질재료, 고온재료, 항공우주재료, 광통신재료 등 신소재 재료로 주목받는 박막재료에 관한 제조기술 및 공정의 원리와 법칙 그리고 그 응용기술을 소개하고 관련이론을 체계적으로 습득시킨다.
-
- 4학년 2학기 [0010452] 반도체재료및소자 (Semiconductor materials and devices)
- 본 과목에서는 반도체재료의 기본 물성을 이해하고 DRAM과 같은 메모리 소자의 동작 원리를 파악한다.
-
- 4학년 2학기 [EQA6025] 비정질재료 (AMORPHOUS MATERIALS)
- 대표적인 비정질 재료인 유리의 조성과 그에 따르는 원자구조 및 그 구조에 따르는 물성의 변화를 Zachariasen의 법칙을 이해하고, 온도에 따른 유리의 거동을 배우며,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특징인 청징과 서냉 등의 이유와 원리를 익히고 다양한 유리 제품의 성질 및 특수유리에 대하여 알아본다.
-
- 4학년 2학기 [0009479] 수소연료전지공학 (Hydrogen Fuel Cell Engineering)
- 차세대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에너지 환경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세라믹스의 기초 물성 및 흡착이론, 비균질촉매, 반응속도, 전기화학 등의 관련이론을 학습하며 주요 응용분야인 연료전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
- 4학년 2학기 [EQA6120] 정보저장재료 (MATERIALS FOR INFORMATION STORAGE)
-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따라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짧은 시간 안에 저장하고,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정보저장기기의 등장이 요구되고 있다. 그에 따라서 정보저장을 위한 다양한 재료가 개발되고 있는데, 본 강의에서는 정보저장의 원리를 자기기록방식을 중심으로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