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로봇 시스템 공학과 교육과정 개정(안)(2025)
입학년도 | 학년 | 학기 | 교과목코드 | 학점 | 이수구분 | 교과목명 | 비 고 |
---|---|---|---|---|---|---|---|
2025 | 1 | 1 | 0009316 | 2 | 기초교양 (학문의기초) |
Academic English | |
XAA1358 | 3 | 대학수학(1) | |||||
0011616 | 3 | 기초교양 (기초과학ㆍ공학) |
화학생물 | ||||
0008309 | 3 | 전공기초 | 정역학 | ||||
0008730 | 2 | 공학프로그래밍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0011097 | 1 | 자기설계세미나 | |||||
2 | XAA8061 | 2 | 기초교양 (학문의기초) |
글쓰기이론과실제 | |||
XAA1359 | 3 | 대학수학(2) | |||||
EN06100 | 3 | 기초교양 (기초과학ㆍ공학) |
물리 | ||||
EPO1007 | 1 | 물리실험 | |||||
0006700 | 3 | 전공기초 | 공업수학(1)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0001844 | 3 | 전공핵심 | 동역학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0011444 | 2 | 전공심화 | 심화프로그래밍 | ||||
2 | 1 | 0005060 | 1 | 기초교양 (기초과학ㆍ공학) |
대학영어회화1 | ||
0009438 | 2 | 전공기초 | 전기회로실험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0011913 | 3 | 전공핵심 | 전기회로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EBA6003 | 3 | 공업수학(2) | |||||
EPD6089 | 3 | 재료역학 | 부전공 필수 이수,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0001426 | 2 | 전공심화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
0010443 | 3 | 세포생명공학1 | |||||
0011914 | 3 | 로봇동역학및제어 | |||||
EPA6048 | 3 | 열역학 | |||||
2 | 0005061 | 1 | 기초교양 (기초과학ㆍ공학) |
대학영어회화2 | |||
0009449 | 3 | 전공핵심 | 시스템동역학1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0009455 | 3 | 디지털회로 | |||||
EK06075 | 3 | 전자기학 | |||||
0001217 | 3 | 전공심화 | 유체역학 | ||||
0008733 | 3 | 재료공학 | |||||
0009447 | 2 | 캐드형상모델링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0010444 | 3 | 세포생명공학2 | |||||
0011915 | 2 | 디지털회로실험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3 | 1 | 0001831 | 3 | 전공핵심 | 기계요소설계 | ||
0009441 | 3 | 자동제어1 | |||||
0003421 | 3 | 전공심화 | 전력전자공학 | ||||
0009442 | 3 | 시스템동역학2 | |||||
EA06044 | 3 | 수치해석 | |||||
EI06062 | 3 | 신호와시스템 | |||||
EPA6032 | 3 | 기계진동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EPG6114 | 3 | 확률및통계 | |||||
2 | 0001865 | 3 | 전공심화 | 로봇공학 | 부전공 필수 이수 | ||
0004172 | 3 | 유한요소법 | |||||
0009440 | 2 | PSPICE MATLAB | |||||
0009454 | 2 | 바이오융합공학실험 | |||||
0009456 | 3 | 자동제어2 | |||||
0010076 | 3 | 최적설계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EBA6017 | 3 | 전자회로 | 부전공 필수 이수 | ||||
EK06044 | 3 | 전기기기 | |||||
4 | 1 | 0008822 | 1 | 전공심화 | 종합설계프로젝트1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0009443 | 2 | 유한요소구조해석 | |||||
0009444 | 3 | 바이오메카닉스 | |||||
0009446 | 3 | 신재생에너지 | |||||
0010075 | 3 | 디지털이미지프로세싱 | |||||
EA06052 | 3 | 열전달 | |||||
EPB6036 | 3 | 디지털제어 | |||||
2 | |||||||
0008821 | 1 | 전공심화 | 종합설계프로젝트2 | 연계전공(미래자동차연계전공) 교과목 | |||
0009457 | 3 | 전기기기제어 | |||||
EPA6121 | 3 | 자동차공학 |
1학년
- 대학수학(1)
- 함수의 극한과 연속, 도함수, 극좌표, 부정적분 및 정적분등 수학의 기본 이론을 다룸.
- 화학생물(Basic chemistry and biology)
- 의공학 전공과목의 이해를 위한 기초 화학 지식 및 생물 지식을 전달함. 아울러 화학 및 생물의 기본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공학적 문제해결에 이를 이용하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창의적인 지식을 축적시켜 바이오-로봇 시스템 공학과 전공 수학을 위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탐구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함.
- 정역학(Statics)
- 정역학은 정지해 있는 물체의 역학관계를 규명하는 학문으로 , 역학의 기본 개념과 힘의 평형 및 구조 해석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을 다룸.
- 공학프로그래밍(Engineering Programming with MATLAB)
- 공학분야에서 기본적인 계산, 해석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명령문 및 함수를 포함하는 MATLAB은 공학분야 전반에 걸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Tool로, 본 교과목에서는 공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MATLAB을 통한 기본적인 사용법을 익히고, 이를 통한 프로그래밍 기법을 학습하게 함.
- 자기설계세미나(Self-design seminar)
- 자기 설계세미나는 신입생들이 대학 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과목으로 대학 생활 및 캠퍼스 자원에 대한 안내, 진로 탐색 및 계획, 전공에 대한 안내 및 개괄, 다양한 전공 토픽에 대한 학술 세미나, 기초 공부 방법 세미나, 교수 학생 상담 및 친교 활동을 통하여 신입생들의 대학 생활과 전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함.
- 대학수학(2)
- 대학수학(1)에 이어 편도함수, 중적분, 급수 및 행렬과 행렬식 등의 수학의 기본 이론을 다룸.
- 물리(PHYSICS)
- 공학도를 위한 물리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터득케 하는 과정으로서 중력, 물체의 운동, 에너지, 파동, 열 현상, 전기와 자기, 빛, 상대성이론, 양자물리, 원자 및 입자 물리 등에 연관된 물질세계의 특성에 대한 물리학적 접근 방법을 익힘.
- 물리실험(PHYSICS LABORATORY)
- 물리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개념들을 실험을 통하여 이해함. 주로 역학, 열역학의 기초 실험들을 수행함.
- 공업수학(1)(ENGINEERING MATHEMATICS(1))
- 공학을 공부하는데 기본이 되는 다양한 수학적 이론 및 그의 응용부분을 다루는 과목으로 상미분방정식, 선형대수학, 벡터미적분, Fourier 해석, 편 미분방정식, 복소해석, 수치해석, 최적화 그래프 및 확률통계가 주된 주제가 됨.
- 동역학(Dynamics)
- 동역학은 움직이는 물체를 해석하는 학문인데,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진행함.
1) 질점의 운동에 대해 Newton의 운동방정식을 적용하는 것으로 출발하여, 힘과 가속도, 일과 에너지원리, 충격량과 운동량원리를 다룸.
2) 질점의 집합의 운동으로 시작하여 부피를 가진 강체의 운동을 해석함. 관성모멘트 텐서의 성분을 계산하고, 운동량의 모멘트, 강체의 3차원 운동의 일반식, 고정된 축에 대한 강체의 운동, 강체의 평면내 운동을 다룸.
- 동역학은 움직이는 물체를 해석하는 학문인데,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진행함.
- 심화프로그래밍(Advanced programming)
- 본 강의는 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의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 복잡한 공학 및 과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 자료구조의 기초를 다룸.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프로그래밍 개발 환경을 직접 구축해보고, 강의를 통해 학습한 기초 문법과 알고리즘들을 통해 다양한 실제 예제를 해결함으로써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함.
2학년
- 전기회로실험(Electrical circuits laboratory)
- 이 강의에서는 전기회로의 기초적인 이론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R, L, C의 기본소자에 대한 특성을 파악함. 이들 기본소자의 여러 직병렬 회로에 대한 전압, 전류, 저항, 전력 등을 다루며, 전기 회로를 해석하는 이론과 관련된 실험을 수행함.
- 전기회로(Electrical circuits)
- 본 교과목은 전기 회로를 해석하고 설계하는 데 필요한 기초 이론과 전기 회로 소자의 물리적 특성을 학습하도록 함. 먼저 전기 회로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한 후, 수동 소자의 물리적 특성에 대해 학습함. 이를 바탕으로 직류 및 교류 회로 해석 방법을 익히며, 회로 설계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을 익힘.
- 공업수학(2)(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2))
- 공학을 공부하는데 기본이 되는 다양한 수학적 이론 및 그의 응용부분을 다루는 과목으로 상미분방정식, 선형대수학, 벡터미적분, Fourier 해석, 편 미분방정식, 복소해석, 수치해석, 최적화 그래프 및 확률통계를 다룸.
- 재료역학(MECHANICS OF MATERIALS)
- 부재의 응력, 변형도, 응력-변형도 관계를 배우고, 작용하중과 응력사이의 관계를 파악함. 또한 휨에 의한 처짐 곡선의 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기둥의 좌굴현상을 고찰함.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데이터를 객체라는 작은 단위로 추상화하여 모든 처리를 기술하는 프로그래밍 방법론에 대해 학습함. 객체지향언어인 Java를 이용하여 이론으로 배운 부분을 실습함.
- 세포생명공학1(Cell Biotechnology1)
- 본 과목은 공학도들의 바이오 분야에 대한 공학적 해석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생명체의 기본단위인 세포의 기능 및 작용들을 포괄적으로 다룸. 공학도의 관점에서 세포의 개념과 세포의 생명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세포를 구성하는 다양한 단백질의 발현 및 역할 등을 학습함.
- 로봇동역학및제어
- 이 수업에서는 주로 직렬 로봇 매니퓰레이터에 대한 모션 및 힘 제어의 기본 사항을 다룸. Inverse dynamics와 forward dynamics에 대한 연구는 로봇과 그 컨트롤러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됨. 학생들이 피드백 및 피드포워드 제어를 포함한 강체 동역학 및 선형 제어 이론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함. 이는 여러 랩 섹션으로 구성된 실습 과정을 포함함. 학생들은 독립적으로 공부하고 수업 시간 외에 자신의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하며 이 수업을 듣기 전에 로봇 공학 입문을 수강할 것을 추천함.
- 열역학(THERMODYNAMICS)
- 순수 물질에서 열과 물질의 상태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여 열공학 응용분야를 접근할 수 있는 기초지식을 익히도록 함.
- 시스템동역학1(System Dynamics 1)
- 본 과목은 일반 기계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시스템의 동역학적 거동현상을 2계 선형상미분방정식으로 구현하는 일련의 모델링 기법에 대하여 다룸. 학생들은 시스템 모델링 과정을 통해 기계, 전기, 유체 및 열전달 시스템의 거동 특성을 이해하고 수학적인 모델로 구현하는 일련의 과정을 학습함.
- 디지털회로(Digital logic circuits)
- 본 과목에서는, 융합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센싱 및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논리회로의 개념에 대해 배우고, 이를 기본으로 여러 게이트들의 조합에 의한 종합적인 논리회로 구성에 대한 기본 이론을 익힘.
- 전자기학(ELECTROMAGNETIC THEORY)
- 본 교과목은 전기, 전자 공학 계열의 학생들이 향후 각종 수업을 이수함에 있어 필수적인 전자기학에 대한 기본적 이론을 제공하는 학문으로 전기회로와 더불어 전기, 전자 계열의 근간이 되는 학문. 전기 전자 계열의 학문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각종 장(field)과 벡터(vector)에 대한 기본 개념을 알아보고 이들의 다양한 기본 정리와 해석에 대해 학습함. 또한 전기장 및 자기장의 기본 원리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이 타 전공과목에 어떤 형태로 적용되는지를 심도 있게 학습함.
- 유체역학(Fluid Mechanics)
- 화학공정의 중요한 단위조작 중 하나인 유체유동과 관련한 장치들의 설계인자를 디자인하기 위한 기본적인 유체역학적 지식을 배우고 응용함.
- 재료공학(Materials Engineering)
- 기계재료의 구조와 성질 및 성능에 관한 공통기초 이론과 그 원리에 관해 포괄적으로 배우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융합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재료를 설계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 캐드형상모델링(CAD Shape Modeling)
- CAD 및 3차원 솔리드모델링을 통한 도면작성, 공학제도의 방법, 정투상, 부투상, 단면법, 3차원 투영방법, 도면분석 및 관리, 공차해석, 기하공차, 형상공차, 시스템설계, 파라미터설계, 공차설계, CAD/CAM의 기초 등을 학습함.
- 세포생명공학2(Basic Chemistry and Biology)
- 본 과목에서는 공학도들의 바이오 분야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모든 생명 현상 및 생체 활동의 기본이 되는 세포 내 작용 기작 및 에너지의 흐름들을 분자 수준에서 학습하고, 바이오 응용 공학 분야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분자생물학 연구 방법의 이론적 배경을 다룸.
- 디지털회로실험( Digital Circuit Laboratory)
- 본 교과목은 디지털 회로의 기본 개념과 동작 원리를 실험을 통해 학습하고 계측장비 사용법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함. 디지털 회로 실험은 논리 게이트, 플립플롭, 카운터, 레지스터 등의 디지털 소자를 활용하여 다양한 디지털 시스템을 설계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함. 디지털 논리회로 이론을 실습을 통해 검증하고, 실제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디지털 회로의 동작 원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함.
3학년
- 기계요소설계(MECHANICAL ELEMENT DESIGN)
- 본 과목은 기계요소의 기능과 설계법을 다루고, 기계요소의 기계시스템에 대한 기능적, 형상적 관계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도록 함.
- 자동제어1(Principles of Dynamic Control System 1)
- 본 과목은, 기계 및 로봇융합 공학분야에서 나타나는 여러 거동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링, 수립된 모델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안정성 판별, 그리고, 안정된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여러 필수 요소를 분석적으로 해석하고 필요한 설계요소를 도출하는 일련의 자동제어 기법을 다룸. 이런 기초지식의 습득을 통하여 로봇 및 융합시스템 설계에 최적화된 제어기를 설계할 수 있는 기본 잠재력을 키움.
- 전력전자공학(Power Electronics)
- 전력전자공학은 전력반도체 스위치 소자에 의한 전력의 변환과 제어를 다루는 전기전자공학의 한 분야로서 이상적인 스위치로 구성된 전력변환 회로의 구성과 기본적인 동작원리를 이해하도록 함. 본 교과를 통하여 전력전자 기술에 사용되는 필수적인 소자의 종류 및 동작원리에 대해 학습하고, 전력전자 소자를 활용한 전력변환기기 및 응용회로를 학습함.
- 시스템동역학2(System Dynamics 2)
- 본 과목은 일반 기계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시스템의 동역학적 거동현상을 2계 선형상미분방정식으로 구현하는 일련의 모델링 기법에 대하여 다룸. 학생들은 시스템 모델링 과정을 통해 기계, 전기, 유체 및 열전달 시스템의 거동 특성을 이해하고 수학적인 모델로 구현하는 일련의 과정을 학습함.
- 수치해석(NUMERICAL ANALYSIS)
- 수치해석은 여러가지 공학문제를 컴퓨터를 포함한 공학용 계산기를 이용하여 수치적으로 근사값을 구하는 학문분야로서, 본 과목에서는 1학년 동안 배운 수학과목을 기반으로 Matlab을 응용하여 효율적인 공학계산에 필요한 여러가지 기법들을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함.
- 신호와시스템(SIGNALS AND SYSTEMS)
- 신호및시스템은 전자, 전기, 컴퓨터, 정보통신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매우 중요한 과목으로, 본 과목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와 시스템의 수학적 표현 방법을 익히고, 컨벌루션을 통하여 선형시불변 시스템의 입출력 특성을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학습함.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 해석법을 익히기 위하여 푸리에 급수, 푸리에 변환, 라플라스 변환, 그리고 Z-변환을 학습히고 이를 활용한 시스템 해석법을 익히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함.
- 기계진동(MECHANICAL VIBRATIONS)
- 물리학, 동역학과 공업수학을 이수한 공과대학생에게는 필수과정으로, 향후 엔진니어로서 주어지는 개발 대상의 구상 설계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동적 거동의 수학적 모델링, 해석(Analysis)과 종합(Synthesis)에 대한 기초를 이해한 후, 실제적 응용예로 기계진동의 해법에 관한 연습을 통하여, 이론과 엔지니어링을 체계화시킴.
- 확률및통계(PROBABILITY AND STATISTICS)
- 확률 및 통계는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경제 경영환경의 수많은 각종 자료를 분석하고 현상을 파악하며, 이를 근거를 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의 정리 및 해석방법, 확률분포 및 확률과정의 기초, 가설의 검정·추정을 습득케 하여 품질관리, 실험계획법, 회귀분석의 기초분야를 학습하도록 함. 본 강좌의 목적은 확률 및 통계학의 기본 개념과 논리를 학습하고 이를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습득하여 제 문제를 과학적 분석 기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있음.
- 로봇공학(Robotics)
- 생산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의 설계 및 응용에 대한 기본개념을 학습함. 기구학과 동역학적 관점에서 로봇 작동의 힘과 운동을 해석하고, 효과적인 동적 궤적의 생성 방법, 제어장치, 제어방법과 로봇 Gripper의 종류와 동작 원리를 교육하며 최근의 각종 지능로봇들에 대해서도 소개함.
-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 공학문제를 해석하기 위한 경계치 문제 (미분방정식) 의 수치해법으로서 유한요소법을 소개하고 응용방법을 학습함. 유한요소법의 기초이론과 개념을 이해하고, 열전달, 탄성문제 등 전형적인 응용역학 문제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또한, 유한요소법에 첨가되어야 하는 수치적분 및 미분, 보간법, 내삽법, 유한차분, 근사법, 오차해석 등의 수치해석 방법 및 전산프로그래밍에 관한 내용을 추가로 다룸.
- PSPICE MATLAB(PsPice MATLAB Simulink)
- 이 강의에서는 전기 공학의 기초적인 이론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능력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를 둠. 또한, 기본적인 전기 회로도의 설계 및 해석 능력을 습득함.
- 바이오융합공학실험(Biomedical engineering experiment)
- 1) 본 교과목에서는 모션 캡쳐 카메라와 지면 반력기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인체 움직임의 동역학적 분석을 해봄.
2) 본 교과목에서는 동물세포배양에 필요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실제 멸균환경에서 동물세포의 거동을 조절하는 배양법을 실습함.
- 1) 본 교과목에서는 모션 캡쳐 카메라와 지면 반력기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인체 움직임의 동역학적 분석을 해봄.
- 자동제어2(Principles of Dynamic Control System 2)
- 본 과목에서는 자동제어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1자유도계 시스템의 범위를 넓혀 다자유도계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이론적 내용을 다루며 주파수 분석을 비롯한 PID 제어 방법도 학습함.
- 최적설계(Design Optimization)
- 기계 및 전자 시스템의 성능 향상은 중요한 고려사항이자 설계의 필수적인 요소로, 본 수업의 목표는 설계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공학 설계문제를 수학적 문제로 변환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 설계점을 도출하는 기법에 대하여 학습하는 것. 이를 위하여, 설계문제 및 최적 설계문제의 정식화 기법, 최적점의 수학적 조건, 해석적 최적화 기법, 수치적 최적화 기법 등을 학습하고 실제 공학 설계문제에 적용함.
- 전자회로(MICROELECTRONIC CIRCUITS)
- 현대 전기ㆍ전기공학의 핵심 능동 소자인 Diode, Transistor, FET 및 Op.Amp 등의 IC에 대한 기초적 이론이 강의되어 기본 소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들 소자를 이용한 일반 전자회로에 대한 응용력을 배양함으로써 전문지식을 갖춘 엔지니어로써의 자질을 향상시킴.
- 전기기기(ELECTRIC MACHINERY)
- 1) 직류발전기와 직류전동기의 기본 원리와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현장에서 기기를 조작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2)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또는 저전압을 고전압으로 변성하는 변압기의 근본원리와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현장감 있는 교육을 실시하여 전문화된 기술인력을 양성함.
- 1) 직류발전기와 직류전동기의 기본 원리와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현장에서 기기를 조작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
4학년
- 종합설계프로젝트1(Mechanical System Design Project I)
- 본 과목에서는 기계 및 로봇공학 관련 이론 과목을 토대로, 이론적인 내용을 구현하거나, 실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인 요소 및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함.
- 유한요소구조해석(Finite Element Structural Analysis)
- 본 과목은 유한요소법 에서 배운 수치해석 이론을 토대로 유한요소 해석을 실습함. 유한요소 상용해석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배우고, 이를 설계에 적용하는 과정을 다룸.
- 바이오메카닉스(Biomechanics)
- 본 교과목에서는 기본적인 인체 움직임의 동역학적 분석을 학습함. 근육 모델을 비롯하여 포워드 다이나믹스와 인버스 다이나믹스를 이용하여 인체 움직임을 분석함.
- 신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이해, 분석, 설계 능력을 높이고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전력 전송 기술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목표로 함.
- 디지털이미지프로세싱(Digital Image Processing)
- 이 강의는 자율주행 및 로봇 비전등에 활용 가능한 기본적인 이미지 처리 기술을 다룸. 먼저, 이미지 표현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하여 소개한 뒤, 화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이미지 처리 기법에 대하여 학습함.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화질 개선 기법에 대하여 학습한 뒤, 최신 이미지 처리 기법에 대하여 다룸.
- 열전달(HEAT TRANSFER)
- 인간생활에서 에너지는 전기, 냉난방, 컴퓨터,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필수불가결의 요소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함. 열은 전도, 대류, 복사를 통하여 이동하며 본 교과목에서는 이와 관련된 기초이론으로부터 응용기기인 열교환기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학습을 통하여 기본 이론을 습득하고 냉열기기 설계능력을 배양함.
- 디지털제어(DIGITAL CONTROL SYSTEM)
- 디지털 제어기는 아날로그 제어기에 비해 신뢰성이 높고 소형이고 가격이 저렴하고 성능이 우수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고 복잡한 계산이나 논리적 동작에 포함된 비선형 제어 방정식을 다룰 수 있고 일정한 정밀도를 가지고 고속으로 복잡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됨. 본 강좌의 수업목표는 디지털제어 기본이론 및 디지털 제어 시스템 설계기법의 습득이며, 세부내용은 아래와 같음.
- 디지털 제어시스템의 개념
- 이산시간시스템과 Z-변환
- 샘플링 및 재생
- 개루프 및 폐루프 이산 시간 시스템
- 시간 응답 특성
- 안정도 해석
- 디지털 제어기의 설계
디지털 제어의 기본이론과 이산시간 시스템의 상태공간 해석, 이산시간 시스템의 안정도 해석, 최적제어 시스템, 디지털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실현 등을 다루며, 디지털 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이론과 이의 실제 적용에 대해 학습함.
- 디지털 제어기는 아날로그 제어기에 비해 신뢰성이 높고 소형이고 가격이 저렴하고 성능이 우수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고 복잡한 계산이나 논리적 동작에 포함된 비선형 제어 방정식을 다룰 수 있고 일정한 정밀도를 가지고 고속으로 복잡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됨. 본 강좌의 수업목표는 디지털제어 기본이론 및 디지털 제어 시스템 설계기법의 습득이며, 세부내용은 아래와 같음.
- 종합설계프로젝트2(Mechanical System Design Project 2)
- 본 과목에서는 설계 프로젝트 I에서 구현하고 설계한 내용을 토대로, 보다 더 완성도 높은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를 위해 적용된 기법과 이론적인 배경을 요약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서 학습함.
- 전기기기제어(Control of electric machine)
- 전기기기의 원리와 기본적인 제어 방법에 대해 소개함. 정상상태 및 과도 상태에서의 전기적 특성을 소개하고 전기기기 제어시스템 설계 기법을 습득함.
- 자동차공학(VEHICLE ENGINEERING)
- 자동차 개발기술인 자동차의 안전성, 안정성, 안락성 및 전자제어성에 관한 기초과정. 우선, 자동차 차량의 수직, 종, 횡방향의 역학적인 기초이론을 제공하고 다음에는 응용기술이론으로 자동차량의 거동제어 이론과 해석방법 등을 실제 응용예로 취급함으로써, 수강자가 차량동역학을 고려한 자동차의 기초적 설계방법을 습득하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