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부교수
2010.02.25 성균관대학교 (박사)
2004.02.25 성균관대학교 (석사)
2002.02.25 성균관대학교 (학사)
-
조선시대 노자의 무위 개념 , 한국철학논집 , 제80호 , PP.201~223 , 2024.02.01
『노자』 속 ‘나’의 스펙트럼,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PP.275~300 , 2023.12.31
도덕 교과서(2015 개정) 상의‘장애’ 내용 분석과 �장자�적 대안, 도덕윤리과교육 , 제80호 , PP.27~46 , 2023.08.31
풍류도와 선비정신을 통해 본 ‘미스터 션샤인’과 ‘남한산성’, 연민학지 , 제40권(집) , PP.489~511 , 2023.08.30
한국도교 연구의 경향과 전망 , 한국철학논집 , 제72권(집) , 제0호 , PP.249~271 , 2022.02.15
『장자』의 ‘몸’ ‘장애’ 그리고 자유, 한국철학논집 , 제71권(집) , PP.157~179 , 2021.11.15
<오주연문장전산고>의 도교관 , 도교문화연구 , 제53권(집) , PP.175~198 , 2020.11.30
'한국도교' 기술을 위한 도교의 정의(1), 한국철학논집 , 제65권(집) , PP.9~28 , 2020.05.15
고구려 고분 벽화와 금단(金丹) 도교의 세계관, 사회와 철학 , 제39권(집) , PP.147~168 , 2020.04.30
19세기 조선 최초의 교단도교, 무상단 연구 , 한국철학논집 , 제63권(집) , PP.127~149 , 2019.11.08
'강완숙의 죽음’을 통한 여성ㆍ천주교 담론 변화 - 18~19세기 조선사회의 천주교에 대한 대응 -, 열상고전연구 , 제69호 , PP.41~68 , 2019.10.30
조선시대 백과사전 속 단군의 표상 , 민족문화연구 , 제83권(집) , PP.93~114 , 2019.05.31
북한도교의 전승과 재구성, 사회와 철학 , 제36호 , PP.137~160 , 2018.10.31
기묘사화와 中和論- 16세기 사림의 신권강화 -, 유교사상문화연구 , 제72호 , PP.7~25 , 2018.06.30
Aspects of Korean Folk Daoism in the 19th centur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제21권(집) , 제1호 , PP.125~140 , 2018.06.30
이광현의 『백문결』과 도교의 불사 , 의철학연구 , 제25권(집) , PP.27~49 , 2018.06.30
북한의 율곡 연구- 반동적 관념론자에서 선진적 사상가로, 율곡학연구 , 제35권(집) , PP.7~32 , 2017.12.30
북한의 권력세습과 유교의 성군(聖君)신화, 통일인문학 , 제70권(집) , PP.299~320 , 2017.06.30
도가의 유토피아 — 조선후기 및 일제강점기, ‘소국과민’과 ‘무하유지향’에 대한 이해 —, 동양철학연구 , 제89호 , PP.171~190 , 2017.02.28
모리스 꾸랑의 {한국 서지(Bibliographie Coreenne)}에수록된 도교경전 연구, 한국철학논집 , 제50호 , PP.269~303 , 2016.08.31
조선 전기 도가사상 연구 - 「心氣理篇」과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도가’를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 제43호 , PP.9~32 , 2014.12.31
The Duality of Citing Zhu Xi in the Annotations of the Daodej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 JOURNAL , 제53권(집) , 제3호 , PP.29~47 , 2013.09.30
李忠翊의 ‘假論’ — 이탁오 眞假論, 정제두 假論과의 비교 —, 동양철학연구 , 제73호 , PP.201~221 , 2013.02.28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전개와 변용-동학 증산교를 중심으로-, 도교문화연구 , 제39권(집) , PP.99~123 , 2013.02.28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 조선후기 관제신앙, 선음즐교, 무상단, 한국철학논집 , 제35호 , PP.309~334 , 2012.11.30
『老子想爾注』, ‘心’의 종교적 변모, 동양철학 , 제37권(집) , PP.185~204 , 2012.07.30
조선시대 內丹 口訣書 고찰 — 「丹書口訣」과 「東國傳道十六訣」을 중심으로 — , 동양철학연구 , 제70권(집) , PP.159~179 , 2012.05.30
조선시대 {老子} 주석서에서 ‘仁義’와 ‘私’ 개념의 전개, 한국철학논집 , 제31호 , PP.241~262 , 2011.03.15
王陽明의 ‘四句敎’에 대한 鄭齊斗의 견해 - ‘無善無惡心之體’를 중심으로 -, 양명학 , 제27호 , PP.235~258 , 2010.12.30
하곡학파의『老子』독법, 도교문화연구 , 제33권(집) , PP.209~235 , 2010.11.30
이광려의 「독노자오칙(讀老子五則)」에 대한 독법(讀法), 정신문화연구 , 제32권(집) , 제4호 , PP.113~134 , 2009.12.30
이충익의 椒園談老에 드러난 有無觀- 왕필 老子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도교문화연구 , 제28호 , PP.243~266 , 2008.04.30
서명응의 道德指歸에 나타난 태극관, 동양철학연구 , 제48호 , PP.145~172 , 2006.11.30
종교 마음을 말하다, 공동체 , 2013.05.01
초원담노-양명학자 이충익의 노자 읽기-, 예문서원 , 2013.04.15
발해인 이광현 도교저술 역주, 한국학술정보 , 2011.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