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기계공학과 교과과정표
졸업소요학점: 140학점 이상
교양 30 ~ 55학점
전공 72학점 이상
교양 30 ~ 55학점
전공 72학점 이상
입학년도 : 2019 이후
1학년
1학기 (16)
-
이수구분교과목명교과목코드학점
-
교양필수00093162닫기
학년 1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9316 교과목명 Academic English 이수구분 교양필수 학점 2 교과목개요 - -
교양필수XAA13583닫기
학년 1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XAA1358 교과목명 대학수학(1) 이수구분 교양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함수의 극한과 연속, 도함수, 극좌표, 부정적분 및 정적분등 수학의 기본 이론을 다룬다. -
기초과학XAA10773닫기
학년 1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XAA1077 교과목명 물리(1) 이수구분 기초과학 학점 3 교과목개요 물리학의 일반이론을 정역학 및 동역학에 초점을 두고 강의한다. -
기초과학XAA10801닫기
학년 1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XAA1080 교과목명 물리실험(1) 이수구분 기초과학 학점 1 교과목개요 본 교과목은 기초과학을 전공할 학생들에게 기초적인 물리실험을 통하여
자연의 원리를 터득하고 직접 실험을 함으로써 과학적 사고력과 탐구력을 신장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기초과학 관련 고급실험에 필요한 기본능력을 배양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기초과학XAA14933닫기
학년 1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XAA1493 교과목명 대학화학 이수구분 기초과학 학점 3 교과목개요 화학의 기본 제법칙, 열역학의 기초이론, 원자 및 분자이론, 용액론, 상평형 및 화학평형, 반응속도론, 전기화학, 유기화학 및 생화학의 기본 등 화학전반에 걸쳐 비교적 광범위하고 정도가 약간 높은 기초화학 지식을 취급한다. -
전공기초00078423닫기
학년 1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7842 교과목명 기계기초프로그래밍 이수구분 전공기초 학점 3 교과목개요 C 언어의 개념과 문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를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특히 C 언어를 이용하여 구조적이고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기계공학과에서 다루어야할 많은 전공 필수 교과목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기본 소양을 가르친다.
1학년
2학기 (16)
-
이수구분교과목명교과목코드학점
-
교양필수XAA80612닫기
학년 1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XAA8061 교과목명 글쓰기이론 및 실제 이수구분 교양필수 학점 2 교과목개요 - -
교양필수XAA13593닫기
학년 1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XAA1359 교과목명 대학수학(2) 이수구분 교양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대학수학(1)에 이어 편도함수, 중적분, 급수 및 행렬과 행렬식 등의 수학의 기본 이론을 다룬다. -
기초과학00001023닫기
학년 1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0102 교과목명 물리(2) 이수구분 기초과학 학점 3 교과목개요 역학,열역학, 전기와 자기학, 원자와 핵물리학, 소립자 및 상대성 원리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
기초과학00001031닫기
학년 1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0103 교과목명 물리실험(2) 이수구분 기초과학 학점 1 교과목개요 물리실험(1)의 연장으로 기초적인 개념을 실험을 통하여 이해한다. 주로 전자기학, 광학등의 기초실험등을 수행한다. -
전공기초00066503닫기
학년 1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6650 교과목명 공학기초설계 이수구분 전공기초 학점 3 교과목개요 본 강좌는 창의적인 공학 설계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중심으로 디자인, 디자인을 위한 사고, 그리고 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일반적인 개념을 광범위하게 제공합니다. 특히, 이러한 이해의 배경 내에서, 창조적 인 방식으로 엔지니어링 설계를 수행하기위한 프로세스와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학부 및 엔지니어링과 디자인의 대학원 학생 모두에게 유용합니다. 효과적인 이해와 실습을 위해 두 개(1, 2)로 나누어져 있으며, 본 강좌는 첫 번째 강좌입니다. -
전공기초00078833닫기
학년 1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7883 교과목명 전산기계제도 이수구분 전공기초 학점 3 교과목개요 본 강좌에서는 기계의 3D 모델의 설계할 수 있는 CAD를 활용하여 3D 구조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강좌가 다루는 내용은 치수 기술과 기하학적 치수 및 공차, 기계 제도 표준 기술을 절편의 응용 프로그램 및 지정 스레드 및 잠금 장치를 포함합니다. 공학적 디자인 과정도 함께 설명된다. 효과적인 이해와 실습을 위해 본 강좌는 두 개의 코스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본 강좌는 첫 번째 강좌입니다.
2학년
1학기 (13)
-
이수구분교과목명교과목코드학점
-
교양필수00050601닫기
학년 2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5060 교과목명 대학영어회화Ⅰ 이수구분 교양필수 학점 1 교과목개요 - -
기초과학00012083닫기
학년 2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1208 교과목명 공학수학Ⅰ 이수구분 기초과학 학점 3 교과목개요 다양한 전공의 공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제차 및 비제차 상미분방정식에 대한 이해 및 다양한 풀이 방법을 익힌다. 또한 상미분방정식 풀이에 사용되는 라플라스 변환을 익힌다. -
전공필수EPA61233닫기
학년 2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EPA6123 교과목명 기 계 재 료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본 교과목은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 내부의 구조를 이해하고 내부구조와 성질 간의 관계, 내부구조를 변화시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각종방법(열처리, 석출경화)등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또한 공업재료의 강도의 원천인 원자결합구조, 결정구조를 이해하고 재료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결함의 종류와 성질간의 관계를 규명한다. 공업용재료의 조직형성과정을 고찰하고 조직형성과 정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규명한다. -
전공필수00028063닫기
학년 2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2806 교과목명 고체역학Ⅰ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고체역학은 인장, 압축, 전단, 굽힘 및 비틀림 등의 하중을 받고 있는 기계구조의 거동을 다루는 응용역학의 한 분야로서 기계 및 구조물 설계시 가장 핵심적 과목으로 역학을 다루는 모든 공학계열의 학과에서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되는 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인장, 압축 및 전단력을 받는 기계구조물의 변형과 이에 수반된 응력(stress)과 변형율(strain)을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기계나 구조물을 설계하는 방법론을 습득하도록 한다. -
전공필수00028073닫기
학년 2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2807 교과목명 공업열역학Ⅰ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순수 물질에서 열과 물질의 상태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여 열공학 응용분야를 접근할 수 있는 기초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
전공선택EPA60983닫기
학년 2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EPA6098 교과목명 전기전자공학개론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전기를 전공으로 하지 않은 기계공학과 학생들이 전기 및 전자관련 기초내용을 이해하고, 현대의 모든 기술의 정보가 전기량으로 변화되고 이것으로 많은 기기가 구동되는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2학년
2학기 (19)
-
이수구분교과목명교과목코드학점
-
교양필수00050611닫기
학년 2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5061 교과목명 대학영어회화Ⅱ 이수구분 교양필수 학점 1 교과목개요 - -
기초과학00084793닫기
학년 2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8479 교과목명 공학수학Ⅱ 이수구분 기초과학 학점 3 교과목개요 공학수학 1의 연장선에서, 행렬의 성질 및 고유값 문제를 풀 수 있는 능력배양을 위한 선형대수의 기본성질과 푸리에 변환에 대해 공부한다. 복소공간에 대한 기본적 성질도 익힌다. -
전공필수00018443닫기
학년 2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1844 교과목명 동 역 학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동역학은 움직이는 물체를 해석하는 학문인데,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진행한다. 1) 질점의 운동에 대해 Newton의 운동방정식을 적용하는 것으로 출발하여, 힘과 가속도, 일과 에너지원리, 충격량과 운동량원리를 다룬다. 2) 질점의 집합의 운동으로 시작하여 부피를 가진 강체의 운동을 해석한다. 관성모멘트 텐서의 성분을 계산하고, 운동량의 모멘트, 강체의 3차원 운동의 일반식, 고정된 축에 대한 강체의 운동, 강체의 평면내 운동을 다룬다. -
전공필수EPA60213닫기
학년 2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EPA6021 교과목명 기계공작법Ⅰ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기계가공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재료의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지배하는 재료의 성질을 바꾸기 위한 제반기술의 활용을 다룬다. 원재료를 각종 가공공정을 이용하여 필요한 제품이나 기계요소부품을 제작 및 생산하는 기계가공공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
전공필수EA060573닫기
학년 2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EA06057 교과목명 유체역학Ⅰ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유체역학의 물리적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기본개념 및 이론을 미분방정식과 벡터 해석에 의하여 유도하고 유채 정역학 및 동역학을 제어체적 이론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차원해석과 상사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실험방법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전공선택00018373닫기
학년 2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1837 교과목명 고체역학Ⅱ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기계구조물의 강성 및 강도설계를 할 수 있는 기초지식을 부여한다. 보의 굽힘변형을 계산하기 위하여 지배미분방정식을 유도하고 이의 직접 적분법 및 모멘트 면적법, 에너지법, 특이 함수법 등을 취급하고 좌굴이론에 의한 기둥의 좌굴하중과 안정설계방법 및 에너지법에 의한 부정정보의 해법, 부재의 극한설계방법 등을 공부한다. -
전공선택00018403닫기
학년 2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1840 교과목명 공업열역학Ⅱ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열동력 사이클 해석에 필요한 기체사이클, 혼합기의 성질, 열역학적 관계식, 화학반응, 연소공학의 기초, 가용에너지에 관한 기초개념을 확립한다.
3학년
1학기 (20)
-
이수구분교과목명교과목코드학점
-
전공필수EPA6032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EPA6032 교과목명 기 계 진 동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물리학, 동역학과 공업수학을 이수한 공과대학생에게는 필수과정으로, 향후 엔진니어로서 주어지는 개발 대상의 구상 설계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동적 거동의 수학적 모델링, 해석(Analysis)과 종합(Synthesis)에 대한 기초를 이해한 후, 실제적 응용예로 기계진동의 해법에 관한 연습을 통하여, 이론과 엔지니어링을 체계화시킴에 있다. -
전공필수EPA60262닫기
학년 3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EPA6026 교과목명 기계공학실험Ⅰ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2 교과목개요 기계공작의 기초적 원리, 공작기계의 운용방법과 기계가공과정을 체득하는 한편, 기계가공 및 기계운영시의 동적현상(기계, 진동 및 음향)의 측정과 해석방법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
전공선택EPA6023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EPA6023 교과목명 기계공작법Ⅱ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기계가공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재료의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지배하는 재료의 성질을 바꾸기 위한 제반기술의 활용을 다룬다. 원재료를 각종 가공공정을 이용하여 필요한 제품이나 기계요소부품을 제작 및 생산하는 기계가공공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
전공선택0009981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9981 교과목명 첨단정밀가공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최근의 정밀기계, 로봇, 전기, 전자, 정보통신, 정밀기계, 광학, 바이오, 의료산업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기계 기구나 그 구성요소 부품은 소형화와 함께 미세정밀가공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제작 과정에서 요구되는 정밀도가 마이크로/나노미터 단위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충족하기 위하여 본 과목에서는 정밀기계가공, 초음파가공, 레이저가공, 방전가공, 전해가공 등 다양한 방법의 정밀가공기술의 소개 및 원리를 수학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졸업 후 산업현장, 학계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는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전문지식을 배양하고자 한다. -
전공선택0007811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7811 교과목명 플랜트기초설계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최근 수증기를 매체로하는 보일러, 증기터어빈 등이 고성능화, 고온고압화, 자동화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증기의 성질, 동력싸이클 등의 기초 위에 발전설비의 요소부품인 보일러, 증기 터어빈, 제어장치 등의 작동원리를 학습하여 설계기술을 배양하도록 한다. -
전공선택EPA6058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EPA6058 교과목명 유체역학Ⅱ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본 교과목에서는 유체 유동에 대한 물리적인 해석을 적용하여 유동을 지배하는 기본 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러한 유동 지배 방정식을 활용하여 공학상의 그리고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유동이 연관된 문제들에 대한 해결능력을 배양한다. -
전공선택EPA6044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EPA6044 교과목명 수치해석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컴퓨터에서의 수치처리 방식 및 방정식, 선형시스템, cuvefitting, interpolation, 수치적분, 수치미분 등 수치해석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이러한 알고리즘의 구현을 통하여 공학이 제문제 해결에 수치해석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3학년
2학기 (22)
-
이수구분교과목명교과목코드학점
-
전공필수0001831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1831 교과목명 기계요소설계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본 과목은 기계요소의 기능과 설계법을 다루고, 기계요소의 기계시스템에 대한 기능적, 형상적 관계에 대하여 개념을 갖도록 한다. -
전공필수00018472닫기
학년 3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1847 교과목명 기계공학실험Ⅱ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2 교과목개요 1) 기계재료에 대한 인장시험, 조직관찰법, 경도시험 등을 통하여 재료시험분야의 이론과 실제의 상호연관을 재확인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2) 고체역학이론을 전단력과 비틀림을 통해서 확인한다.
3) 실험보고서 작성요령을 익혀서 보고서 작성능력을 배양한다. -
전공필수0006666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6666 교과목명 캡스톤디자인Ⅰ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필수 전공 교과목을 바탕으로, 과제의 기획, 수행, 분석 등의 과정을 팀 활동을 통해 경험하게 하고, 사회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 능력, 협업 능력, 실무 능력 등을 갖추는 종합설계과목으로서 필수 졸업 요건이다. -
전공필수0001853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1853 교과목명 열 전 달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인간생활에서 에너지는 전기, 냉난방, 컴퓨터,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필수불가결의 요소이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다루는 학문이 열전달이다. 열은 전도, 대류, 복사를 통하여 이동된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와 관련된 기초이론으로부터 응용기기인 열교환기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학습을 통하여 기본 이론을 습득하고 냉열기기 설계능력을 배양한다. -
전공필수0003413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3413 교과목명 제 어 공 학 이수구분 전공필수 학점 3 교과목개요 제어공학은 현대의 모든 공학분야 즉 기계공학, 항공공학, 전기공학, 화학공학 등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학문이다. 즉 제어대상이 기계적이거나 전기분야, 화공분야 또는 이들 분야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제어라 함은 이러한 제어대상의 출력이 어떻한 경우에도 우리가 원하는 목표값에 안정적으로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출력을 피드백하여 목표값과 비교하여 에러가 없어지도록 하는 폐회로 제어 시스템이 주로 사용된다. 제어시스템 설계를 위해서는 우선 제어대상을 수학적으로 모델링을 한 후 이 수학적인 모델에 대해 제어기 설계를 하게 되는데, 이때부터는 기계, 전기, 화공분야에 관계없이 똑 같은 제어이론을 적용 하게 된다. 본 수업에서는 여러 공학 분야의 기본적인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 방법을 읽히고,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의 최신 피드백 제어이론을 학습하여 원하는 퍼포먼스를 보장하는 제어기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
전공선택EPA6117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EPA6117 교과목명 동력기관설계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수송기관 및 동력발생장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내연기관에 전반적인 이해 및 작동원리, 특히 고성능, 저공해 내연기관 개발에 필요한 기초지식의 함양 및 설계개념 확립과 아울러 연료전지의 개념이해와 응용에 관한 이해를 수업 목적으로 한다. -
전공선택EPA61163닫기
학년 3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EPA6116 교과목명 유체기계설계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본 교과목은 유체기계에서 유체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또는 기계적 에너지가 유체 에너지로 변환되는 기본 원리들을 깨닫게 하고, 이에 기초하여 실제적인 에너지 변환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과 이를 실제로 활용하고 있는 기계들에 대한 공학적 해석 및 응용능력, 그리고 설계능력을 터득케 함으로써 기계공학도들에게 유체 기계에 대한 실용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전공선택00087292닫기
학년 3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8729 교과목명 시퀀스제어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2 교과목개요 4차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는 현대의 정보산업사회의 현장에는 각종 자동화 라인들이 구축되어 있으며, 생산성과 경쟁력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더욱더 폭넓은 자동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자동화시스템의 구축에 필수적인 시퀀스제어 이론과 이를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PLC 프로그래밍 언어인 ladder diagram을 배우고 읽혀 실제 PLC를 활용한 실습을 통해 기초적인 자동화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4학년
1학기 (24)
-
이수구분교과목명교과목코드학점
-
전공선택0006653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6653 교과목명 캡스톤디자인Ⅱ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필수 전공 교과목을 바탕으로, 과제의 기획, 수행, 분석 등의 과정을 팀 활동을 통해 경험하게 하고, 사회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 능력, 협업 능력, 실무 능력 등을 갖추는 종합설계과목으로서 필수 졸업 요건이다. 그리고, 작품의 발표 및 작품에 대한 스스로의 고찰, 평가를 통하여 엔지니어링 요소를 덧붙여, 전시, 출품을 통한 학문적 성취감을 이루도록 한다. -
전공선택0002292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2292 교과목명 전산구조해석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유한요소법에 대한 기초 이론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상용툴을 사용하여 정적/동적 구조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및 결과값을 해석하는 법을 익힌다. -
전공선택0004892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4892 교과목명 MEMS개론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MEMS 는 기계 및 전기 부품을 통합하고 마이크로미터에서 밀리미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집적 회로를 구성하고 배치함에 있어서, 상당한 비용 이점을 제공하며, 그 잠재력 또한 무궁무진하다. 매우 작은 사이즈를 장점으로 하여, 반도체, 기계적 시스템, 센서 등 다양한 시스템에 통합 및 적용 할 수 있다. 마이크로 센서 (예를 들면, 자동차 충돌 감지 및 압력 센서, 가속도계) 및 microactuators 등이 MEMS의 상업용 응용의 예라고 할 수 있다. -
전공선택EA06029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EA06029 교과목명 기 계 설 계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동력계 기계요소의 기능과 형상적 관계에 대한 개념을 터득하여 기계시스템을 설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전공선택EPA6119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EPA6119 교과목명 공조냉동시스템설계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국민생활의 선진화에 따라 쾌적한 생활공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첨단산업에서는 온습도등 환경제어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과목에서는 열부하계산, 습공기선도, 공조기시스템 등 공기조화에 필요한 기초와 냉동기 요소부품에 대한 기본 원리를 습득하여 관련기기의 설계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전공선택EPA6122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EPA6122 교과목명 전산유체설계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는 유체의 흐름을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 해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하는 것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 해석적 방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드는 실험에 의한 방법보다 빠르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그리고 실험적 방법으로 해석이 불가능한 분야에서도 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컴퓨터가 눈부신 발전을 해 왔듯이 전산유체분야도 컴퓨터의 성능향상에 힘입어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수치해석의 알고리즘과 컴퓨터의 발달로 많은 분야에서 실험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산유체역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간단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제 응용사례를 이해한다. -
전공선택0001865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1학기 교과목코드 0001865 교과목명 로 봇 공 학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생산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의 설계 및 응용에 대한 기본개념을 배운다. 기구학과 동역학적 관점에서 로봇 작동의 힘과 운동을 해석하고, 효과적인 동적 궤적의 생성 방법, 제어장치, 제어방법과 로봇 Gripper의 종류와 동작 원리를 교육한다. 또한 최근의 각종 지능로봇들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4학년
2학기 (16)
-
이수구분교과목명교과목코드학점
-
전공선택00078021닫기
학년 4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7802 교과목명 진로설계세미나Ⅰ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1 교과목개요 학생들에게 취업 및 진학 등의 자기진로 설계 및 구체화를 위하여 담당교수 주도하에 이루어지는 세미나 수업으로 학생들의 사회진출 및 적응도모 -
전공선택0009435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9435 교과목명 소음공학의기초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본 강좌는 엔지니어로써 현장에서 요구되는 음향 및 소음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본 강좌는 복잡하고 다양한 음향 시스템의 거동을 이해하고 또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에서의 음파의 거동 및 음원복사와 같은 지식 및 해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음향 및 소음 분야의 전문적 소양 함양을 위한 다양한 음향 관련 수업에서 요구하는 기초적 지식을 제공한다. -
전공선택0009436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9436 교과목명 재료가공과거동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본 교과목은 항공·우주, 자동차, 철강, 조선 등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재료 가공법과 가공 전/후에 고려해야 하는 재료의 거동에 대한 학습을 목표로 한다. 특히, 산업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재료의 가공법 (예: 용접/접합, 금속3D프린팅, 고온프레스성형, 소성가공 등)과 이에 따른 재료의 기계적 및 재료적 거동 (예: 탄·소성변형, 피로/파괴/크리프, 응력 및 미세조직 변화 등)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통해 재료 특성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모한다. -
전공선택0001867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0001867 교과목명 에너지변환공학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화석연료의 연소를 비롯하여 화석연료로부터 전기에너지로의 에너지 변환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원자력, 태양에너지, 풍력, 연료전지 등 대체에너지 기술에 대해 학습하고 에너지와 환경 문제를 살펴본다. -
전공선택EA06054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EA06054 교과목명 유 압 공 학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 -
전공선택EC061393닫기
학년 4 편성학기 2학기 교과목코드 EC06139 교과목명 신 호 처 리 이수구분 전공선택 학점 3 교과목개요 신호처리의 개요, 이산시스템, Z-변환, FIR 필터와 IIR 필터, DFT 및 FFT 등을 다루며 이러한 것이 현재 전자공학 산업 전반에 어떻게 응용되는지 등을 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