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안내
인천대학교의 총 11개 단과대학과 2개 독립학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고의 대학을 위한 인천대학교의 학과를 살펴보세요.

-
사회과학대학
-
사회과학대학은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 가고,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0년 행정학과가 신설되고, 1981년 국민윤리학과와 정치외교학과가 신설되었다.
1988년 행정학과, 국민윤리학과, 정치외교학과가 사회과학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97년 신문방송학과가 사회과학대학 내에 신설되고, 2005년 국민윤리학과가 윤리·사회복지학부 (윤리학전공, 사회복지학전공)으로 개편되었다.
2010년 문헌정보학과, 창의인재개발학과가 사회과학대학내에 신설되었다.
2011년 윤리·사회복지학부에서 사회복지학과로 변경되었다.
사회복지학과신문방송학과문헌정보학과창의인재개발학과

-
글로벌정경대학
-
글로벌정경대학은 “덜 혜택받고 자란 지역의 인재를 세계의 인재로 키운다”라는 INU송도비전의 교육이념을 구현하기 위하여 2016년 3월에 창설되었다.
글로벌정경대학은 2014년에 착수한 국책 교육특성화사업의 연장에서 2년 간의 치밀한 준비 끝에 설립되어 법학, 행정학, 정치외교학, 경제학, 무역학의 융복합을 통해
학제적 시너지를 극대화함으로써 인문사회계 분야에서 인천대학교를 선도할 리딩 칼리지(leading college)를 지향한다.
글로벌정경대학은 국내외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현장 연계교육을 강화함으로써
글로벌정경대학을 통하여 지역사회와 국제적 일터에서 활약할 중견실무인재를 양성하는데 주력하게 될 것이다.
행정학과정치외교학과경제학과무역학부소비자학과

-
공과대학
-
공과대학은 1979년 인천대학교의 모체인 인천공과대학이 개교할 당시 5개 학과(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토목공학과, 건축공학과)로 시작을 하였으며,
현재 기계시스템공학부의 3개 전공(기계로봇공학전공, 자동차공학전공 메카트로닉스공학전공)과
6개 학과(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안전공학과, 에너지화학공학과)를 갖춘 대학으로 변모하였다.
그 동안 부단한 노력을 통해 많은 우수교원 초빙과 우수학생 유치를 이루어 냈으며, 전문 공학인력 양성과 지역사회 봉사 및 국가 산업발전에 크게 이바지해 왔다.
또한 송도 신 캠퍼스 이전과 국립대 전환 등, 국내 명문대학 나아가 동북아 중심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절호의 기회를 맞이하여,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강력한 추진 노력을 통해 또 한번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공학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2005년부터 공학교육인증제(ABEEK)를 도입하였으며,
2009년 1월 공학교육인증제 인증을 획득하고, 2010년 2월부터 해당 프로그램을 이수한 졸업생들을 배출하고 있다.
공과대학은 “책임감과 윤리의식, 종합설계능력, 현장업무능력, 창의력을 갖춘 전문 기술인 양성”이라는 교육목표를 가지고
국제적 경쟁력과 미래지향적인 전문 지식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공학교육인증 지원시스템 (http://abeek.incheon.ac.kr)
기계·로봇공학메카트로닉스공학전기공학과전자공학과산업경영공학과신소재공학과안전공학과에너지화학공학과

-
정보기술대학
-
정보기술의 발전은 인터넷, 다양한 무선통신기기, 디지털TV 등의 출현을 유도하였으며 문화 컨텐츠 산업의 발전을 유도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업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정보기술대학은 정보기술의 이론적인 발전을 선도함은 물론 산업체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개발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2003년부터 단과대학으로 독립하여 운영되는 정보기술대학은 3개학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 산업 인력 양성을 위한 컴퓨터공학과와 네트워크 및 정보통신 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정보통신공학과, 그리고 임베디드시스템공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컴퓨터공학부정보통신공학과임베디드시스템공학과

-
도시과학대학
-
도시과학대학은 2010학년도 분리 되었으며, 도시행정학과와 도시환경공학부(건설환경공학전공, 환경공학전공),
도시건축학부(건축학전공, 건축공학전공, 도시설계전공)로 구성되었다.
다양하고 복잡한 도시의 제반 현상에 관한 현실적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실천학문을 융합적으로 교육/연구한다.
인간중심, 저탄소 녹색성장, 첨단기법의 융합, 고품격 디자인, 유비쿼터스 도시체계 구축 등의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도시를 지향하는 시대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당면한 도시문제를
창의 혁신적으로 해결하고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패러다임을 주도하는 도시의 새로운 가치창출을 지향한다.
도시행정학과환경공학전공환경공학도시공학과건축학건축공학도시설계

-
생명과학기술대학
-
21세기 생물 산업은 국가 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 산업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지역 내의 의약 및 생물 분야 관련 산업체들이 많아 해당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전문 인력양성이 필요한데,
기초과학인 생물학에만 기반을 둔 인력 양성은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바이오를 기반으로 나노기술(N), 정보기술(I) 등의 관련 학과를 한 단과대학에 배치함으로써
상호의존적으로 결합되는 기술융합을 통해 신산업을 창출할 뿐 아니라 기술, 제품, 서비스를 서로 융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생산하고자 한다.
생명과학기술대학은 생명과학부(생명과학전공, 분자의생명전공)와 생명공학부(생명공학전공, 나노바이오전공)로 이루어져 있다.
생명과학분자의생명생명공학나노바이오

-
법학부
-
법학부는 1. 전문법조인 양성, 2. 직역별 법률전문가 양성, 3. 동북아중심시대를 대비한 법률전문가 양성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1980년 법학과가 신설되었고, 1997년 법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2020년 3월 독립학부로서 법학부로 편제가 개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