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학기 장애대학생 교육지원인력[학습) 모집 안내문 |
Ⅰ |
|
교육지원인력 소개 |
교육지원인력(구 도우미)이란?
정 의 : 본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의 학습, 이동, 생활편의 등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본교 비장애 재학생.
주요활동 : 대필, 강의노트 요약 공유, 과제 보조, 자리 정돈, 이동 보조, 식사 보조 등 장애대학생의 수업 수강을 위한 편의 제공 활동. 장애대학생과의 친교 및 교류 활동.
활동시간 : 일 8시간, 주 20시간, 학기 450시간 이내
- 활동혜택 : 한국장학재단에서 운영하는 국가근로장학생으로 활동비 지원
(시급 9,000원, 예시 : 주 10시간 활동 시 월 360,000원, 주20시간 활동 시 720,000원)
우선 수강 신청(정기 수강신청일 1일 전에 우선 수강신청함)
비교과 분야 자격증 취득(공무원, 어학, IT 등)을 위한 수강료․ 교재비․ 응시료 지원
활동증명서 발급(취업 시 활동 증빙 자료로 활용)
우수 활동가 포상 및 사례 발표 기회 제공(사례 발표 시 발표 증명서 발급)
- 활동가치 : 장애대학생과의 교류와 지원을 통해, 나눔과 상생, 협력과 공존이라는 가치를 경험할 수 있고, 다양한 소수자가 늘어나고 있는 시대에 다양성을 존중하고 함께 살아갈 수 있는 통합사회인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경험과 기회가 될 것임.
나의 본 활동으로 장애대학생에게는 실질적인 삶의 도움을 주고 활동하는 본인에게는 긍정적인 자기인식과 선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의미있는 활동임.
- 2020-2학기 학습 교육지원인력 활동 학생의 활동 소감 및 설문 결과(참고용)
[활동 지속 의사 및 추천 의사 설문에 대한 응답]
2학기 활동을 마친 교육지원인력 학생들에게 조사한 설문 조사에서, 84.6%의 학생이 본 활동을 다시 할 생각이 있다고 응답하고, 76.9%의 학생이 다른 학생에게 본 활동을 추천해 주고 싶다고 응답함.
[본인의 발전 및 성장에 도움된 측면에 대한 설문 응답]
본인의 발전과 성장에 어떤 면이 가장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한 설문에서는 ①타인의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역량 향상, ②장애인식 개선 및 긍정적 인식 제고, ③나눔을 실천하는 경험 취득, ④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가 되었다고 응답함.
[활동한 총평과 소감]
- 소감1 : 이번 1년 동안 장애학생을 도우면서 뜻깊은 경험을 한 것 같습니다. 장애학생과 소통하는 것도 원만하게 진행되었고 센터에 선생님들 또한 친절해서 행복하게 근로했던 것 같습니다.
- 소감2 : 좋은 제도를 통해 장애학생과 도우미 학생이 서로 교류하고 도울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아 좋았습니다.
- 소감3 : 작은 도움이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좋았습니다.
- 소감4 : 졸업할때까지 이런활동이 학교에 있는지 모르는 학생들이 많다. 조금더 홍보를 하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
- 소감5 : 먼저 상대 장애학생과 소통이 잘되어서 언제든지 서로 불편한 점이 있다면 들어주고 서로 개선해 나가면서 더 친해질 수 있었고 저에게 소중한 경험이 되었습니다
Ⅱ |
|
모집 및 선발, 교육 계획 |
지원자격
2021학년도 1학기 인천대학교 재학생, 국가근로장학금 신청자
성적: 재학생(직전학기 C°수준(70점/100점 만점)이상, 신입생(성적제한없음)
소득구간: 제한없음
타 기관(부서)에서 근로하지 않는 학생(중복근로 불가)
매월 수기출근부 작성 제출(장학금 지급 목적), 사전교육(1회), 간담회(1회), 활동 결과보고회(1회) 참석 가능한 학생
모집기간: 2020.02.01.(월) ~ 2020.02.9.(화)
신청방법: 학과 사무실로 활동 신청서 제출
면접일정: 2020.02.15.(월)~16(화) 중 1회 (온라인, 시간 추후 안내)
사전교육 및 장애학생과의 상견례: 2020.02.17.(수)~02.19.(금) 중 1회 실시
신청 및 선발 절차 정리 : 신청은 학과사무실로 하고 학과에서는 센터로 추천
면접-선발-교육-활동관리는 장애학생지원센터에서 진행
Ⅲ |
|
참고 사항 |
장애대학생과 동일 학과(부) 및 동일 성별일 경우 선발에 우대됨.
장애대학생과 같은 학년이 아니어도 선발 가능
선발, 매칭되었어도 장애대학생의 건강 등 여의치 않은 사정으로 학업이 불가능할 경우 교육지원인력의 활동이 어려울 수 있음.
모집 기간 내에 학과에서 모집 불가 시, 장애학생지원센터에서 추가 모집 예정
문의처: 장애학생지원센터(복지회관 104호, 032-835-9912)
인천대학교 장애학생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