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표
사회윤리관의 혼란, 남북사회의 분단, 그리고 환경파괴의 위기에 직면해 있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이러한 위기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관의 형성을 위한 도덕성의 함양과 아울러 윤리적 태도의 확립을 위한 이론적 체계의 정립과
실천 능력을 배양하여 학교 현장에서 지도할 수 있는 유능한 교사의 양성 및 학교 현장에 있는 현직교사의 재교육을
목표로 삼는다.
교수명단
성명 | 직위 | 학위명칭 | 전공분야 |
윤영돈 김윤경 김혜진 이상원 | 교 수 조교수 조교수 조교수 | 교육학박사(서울대 2006) 교육학박사(서울대, 2016) 정치학박사(CGU, 2014) | 서양윤리 도덕윤리교과교육 정치사상 |
선수과목
학칙 제8조, 학칙시행세칙 제6조
종합시험 및 외국어시험
학칙 제25조 내지 제27조, 학칙시행세칙 제16조, 제17조
교과과정(전공과목)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비고 |
22-22-01 | 민주주의론연구 (Studies in Theory of Democracy) | 2 | 기본이수영역 |
22-22-02 | 윤리학연구 (Studies in Ethics) | 2 | 기본이수영역 |
22-22-03 | 철학연구 (Studies in Philosophy) | 2 | |
22-22-04 | 논리·논술연구 (Studies in Logics and Logical Writing) | 2 | |
22-22-05 | 가치교육방법론연구 (Studies in Theory of Value Education Method) | 2 | |
22-22-06 | 도덕윤리수업모델연구 (Studies in Ehics Instruction Model) | 2 | |
22-22-07 | 윤리과교재연구 (Studies on Text of Ethics Education) | 2 | |
22-22-08 | 동양윤리사상연구 (Studies in Oriental Ethical Thoughts) | 2 | 기본이수영역 |
22-22-09 | 환경윤리연구 (Studies in Environmental Ethics) | 2 | |
22-22-10 | 철학적인간학연구 (Studies in Philosophical Anthropology) | 2 | |
22-22-11 | 현대윤리문제연구 (Studies in Contemporary Ethical Problems) | 2 | |
22-22-12 | 서양윤리사상연구 (Studies in Western Ethical Thoughts) | 2 | 기본이수영역 |
22-22-13 | 정보사회와 윤리연구 (Studies in Information Society and Ethics) | 2 | |
22-22-14 | 통일교육연구 (Studies in Unification Education) | 2 | 기본이수영역 |
22-22-15 | 도덕·윤리교육론 (Theory of Moral·Ethics Education) | 2 | 기본이수영역 |
22-22-16 | 한국사상연구 (Studies in Oriental Ethics Thoughts) | 2 | |
22-22-17 | 시민교육론연구 (Studies in Theory of Education for Citizen) | 2 | 기본이수영역 |
22-22-18 | 중국철학연구 (Studies in chinese Philosophy) | 2 | |
22-22-19 | 서양철학연구 (Studies in Western Philosophy) | 2 | |
22-22-20 | 한국윤리사상연구 (Studies in Korea Ethical Philosophy) | 2 | 기본이수영역 |
22-22-21 | 유교윤리연구 (Studies in Confucian Philosophy) | 2 | |
22-22-22 | 도교윤리연구 (Studies in Taoist Philosophy) | 2 | |
22-22-23 | 불교윤리연구 (Studies in Buddist Philosophy) | 2 | |
22-22-24 | 비교사상연구 (Studies in Compatative Toughts) | 2 | |
22-22-25 | 사회철학연구 (Studies in Social Philosophy) | 2 | |
22-22-26 | 생명의료윤리연구 (Studies in Bio-Medical Ethics) | 2 | |
22-22-27 | 도덕발달심리학연구 (Studies in Psychology of Moral Development) | 2 | |
22-22-28 | 도덕가치론연구 (Studies in Theory of Moral Values) | 2 | |
22-22-29 | 정치윤리연구 (Studies in Political Ethics) | 2 | |
22-22-30 | 정치윤리연구 (Studies in Political Ethics) | 2 | |
22-22-31 | 경제윤리연구 (Studies in Economic Ethics) | 2 | |
22-22-32 | 문화윤리연구 (Studies in Culture and Ethics) | 2 | |
22-22-33 | 국제문제윤리연구 (Studies in International Problems and Ethics) | 2 |
교과목해설
• 22-22-01 민주주의론연구(Studies in Theory of Democracy)
민주주의 개념 및 기본이념과 가치체계를 개관하고 그 사상적 형성과정과 발전과정을 검토하면서 민주주의 정치형태를 비교하고
한국의 민주주의 발달과정을 연구한다.
윤리학의 기본개념 및 일반적 문제들을 파악하고 윤리상의 일반 원리들을 해명함으로써 윤리적 사고와 판단능력을 기르고
올바른 실천능력을 함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준 동서철학의 이해를 통해 윤리학의 근원적 맥락을 이해한다.
올바른 사고의 규칙으 습득함으로써 사고 및 판단상의 오류를 방지하고 논리적 사고와 합리적 사유의 정신을 배양한다.
올바른 가치관 교육을 위해 가치의 개념, 가치론의 역사, 가치의 내용, 가치교육의 방법론, 가치 있는 삶을 체계있게 연구한다.
윤리 수업이론과 실습사례의 연구와 검토를 통해서 다양한 수업모델을 개발한다. 윤리교재의 내용체계를 파악하고,
중등 도덕·윤리과 교수·학습 자료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설정해보고, 교수·학습자료의 유형 및 자료개발 방법과 실제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탐구와 분석을 시도한다.
윤리교재의 구조적 내용을 면밀히 이해하도록 윤리교재의 원활한 짜임을 재구성함으로써 교재이해의 심도와 속도를 극대화한다.
유가, 묵가, 도가, 법가 사상 등 동양의 윤리사상의 기본원리 및 일반원리를 분석함으로써 현대 한국의 바람직한 윤리관 정립에
이바지한다.
현대사회의 환경파괴문제의 실상을 진단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철학 및 윤리적 문제를 해명하고, 나아가 그러한 위기 극복
방안을 동서양의 자연관 및 가치관을 중심으로 모색해 본다.
인간에게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에서 인간일반에 관한 철학자들의 다양한 관점들을 규명함 으로써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인간의
본질에 관한 물음을 철학적으로 해명함을 목적 으로 한다.
현대사회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를 사회윤리학적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올바른 가치판단 능력의 배양에 관하여 연구한다.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양의 윤리학의 핵심개념과 방법, 원리들을 연구함으로 교과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생기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과 해결방안을 비판적 관점에서 접 근한다.
남북한 관계 및 통일정책의 전개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민족통일의 중요성, 당위성 등을 고찰하여 통일대비 교육 대책 수립에
중점을 둔다.
윤리 교육 이론의 기초 위에서 윤리 교육의 본질과 목표를 정립하고, 효과적인 윤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성, 지도방법 및
평가 등을 체계화한다.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전통적 윤리사항을 역사적, 체계적인 방법으로 고찰함으로써 바람직한 한국사상을
정립해 본다.
민주사회에서 올바른 민주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여러 이론들을 해명하고 세계 주요국가의 시민교육의 실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민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한다.
중국철학사에 나타나는 기본적인 철학적 주장들을 이해하고, 철학사적인 의미뿐 아니라 중국의 윤리사상들에 끼치는 철학적인
의의를 연구한다.
서양철학사에 나타나는 기본적인 철학적 주장들을 이해하고, 철학사적인 의미뿐 아니라 서양 윤리사상들에 끼치는 철학적인
의미와 의의를 연구한다.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전통적 윤리사항을 역사적, 체계적인 방법으로 고찰함으로써 바람직한 한국윤리를
정립해 본다.
중국과 한국의 전통사상의 주요한 윤리적 전통을 지배하였던 유가 및 유교의 윤리사상을 사상사적 현실에 비추어 조망해 보고,
유가·유교윤리의 장점과 단점을 원전을 통하여 검토한다.
도가 및 도교의 윤리사상을 사상사적 현실에 비추어 조망해 보고, 그 윤리사상을 원전을 통하여 검토함으로써 바람직한 윤리관을
모색한다.
전통사상의 주요한 윤리적 전통을 이루었던 불교의 윤리를 사상사적 현실에 비추어 조망해 봄으로써 바람직한 윤리관을
모색한다.
인류의 다양한 문화현상에 따라 전개, 정립된 동서양의 철학 사상들을 비교·검토함으로써 각 문화현상에 나타나는 철학적 체계가
지니는 의미나 의의를 평가하여 바람직한 철학의 방향을 모색한다.
사회철학의 대상과 고찰방식을 검토하고 사회에 관한 이론과 사회적인 실천간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사회철학이 사회에서
담당할 수 있는 역학과 영향력에 관한 탐구를 한다.
21세기 현대사회는 이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윤리적 문제를 안고 있는데, 그것은 곧 인간 생명의 문제이다.
생명의료윤리는 이러한 인간 생명의 존엄성이나 가치를 전제로 생명에 대한 근원적인 문제화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생명공학
또는 생명의료윤리의문제를 집중적으로 탐구함으로써 바람직한 생명가치를 조망한다.
유아기 시절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의 인간이 겪는 도덕발달의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이해하고, 인간 개인의 도덕발달 과정을
윤리학적으로 연구한다.
도덕·윤리교육론연구의 선행과목으로서 도덕적 가치 또는 윤리적 가치가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도덕적 가치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정치철학사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토대로 정치현실에 나타날 수 있는 윤리적인 문제를 연구한다.
한국사회 또는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경제윤리의 문제를 빈부의 문제나 경제정의의 문제등에 비추어 바람직한 경제윤리의
관점을 모색한다.
의식주, 음악, 미술, 놀이와 윤리의 관계 및 문화의 윤리적 근본 성질을 탐구함으로써 올바른 문화이해의 기본방향을 모색한다.
오늘날 지구촌에서 발생하는 전쟁이나 인권유린 사태와 같은 구체적인 사례들을 윤리적 시각에서 조명하고 검토·분석함으로써
안정되고 평화로운 국제사회의 윤리를 모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