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국문학과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EL : 835-8110, 8902)
계열 및 과정 : 인문·사회계열(석·박사 과정)
1. 학과 개요
한국의 언어와 문학을 연구·발전시키기 위하여 1988학년도부터 석사과정, 2000학년도부터 박사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2. 교육 목표
본 학과는 전공분야를 크게 국어학과 국문학으로 나누어, 각 분야의 연구를 통하여 민족문화 창달에 공헌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3. 교수 명단
성 명 | 직 위 | 학 위 명 칭 | 전 공 분 야 |
---|---|---|---|
송원용 | 교 수 | 문학박사(서울대 2002) | 문법론 |
조현우 | 부 교 수 | 문학박사(서강대 2005) | 고전소설 |
채숙희 | 부 교 수 | 문학박사(서울대 2011) | 통사의미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
노지승 | 부 교 수 | 문학박사(서울대 2005) | 현대소설 |
전병준 | 조 교 수 | 문학박사(고려대 2010) | 현대시 |
강용훈 | 조 교 수 | 문학박사(고려대 2011) | 문학비평, 문화비평 |
김정경 | 조 교 수 | 문학박사(서강대 2005) | 구비서사문학 |
4. 학과 운영 내규
(1) 본 학과의 전공은 국어학과 현대문학, 고전문학(비교문학 및 한문학 포함)으로 나눈다.
(2) 본 학과의 전공과목(타 학과 관련과목 포함)의 선택은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본 학과의 학생은 필요한 학점을 취득하고 종합시험에 응시하고자 할 때는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석·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하려는 학생은 학과 교수, 대학원생이 모인 자리에서 제출논문을 공개 발표하여야 한다.
(5) 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하려는 학생은 전공학회에 2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해야 한다. 그 중 1편은 등재후보지 이상이어야 한다.
| 한국어교육학과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 TEL : 835-8110, 8902)
계열 및 과정 : 인문·사회계열 (석·박사 과정)
1. 학과 개요
본 학과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교육하는 교사와 한국어교육의 학술적 연구 및 교육현장의 관리를 담당하는
전문가를 양성한다.
2. 교육 목표
본 학과는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지식과 한국어교육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능력을 갖춘 한국어교사와 한국어교육
전문가를 양성하여 한국문화의 세계화에 이바지한다.
3. 교수 명단
성 명 | 직 위 | 학 위 명 칭 | 전 공 분 야 |
---|---|---|---|
송원용 | 교 수 | 문학박사(서울대 2002) | 문법론 |
조현우 | 부 교 수 | 문학박사(서강대 2005) | 고전소설 |
채숙희 | 부 교 수 | 문학박사(서울대 2011) | 통사의미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
노지승 | 부 교 수 | 문학박사(서울대 2005) | 현대소설 |
전병준 | 조 교 수 | 문학박사(고려대 2010) | 현대시 |
강용훈 | 조 교 수 | 문학박사(고려대 2011) | 문학비평, 문화비평 |
김정경 | 조 교 수 | 문학박사(서강대 2005) | 구비서사문학 |
4. 학과 운영 내규
(1) 본 학과의 전공과목(타 학과 관련과목 포함)의 선택은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본 학과의 학생은 필요한 학점을 취득하고 종합시험에 응시하고자 할 때는 지도교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석·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하려는 학생은 학과 교수, 대학원생이 모인 자리에서 제출논문을 공개 발표하여야 한다.
(4) 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하려는 학생은 전공학회에 2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해야 한다. 그 중 1편은 등재후보지 이상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