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재의 문법 접근방법 - 연역적·귀납적 문법 접근방법에 대한 소고, 독어교육
, 제80집권(집)
, 제80호
, PP.29~57
, 2021.05.31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학습을 위한 잠재어휘 개발,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제47권(집)
, PP.269~301
, 2020.12.31
선행 외국어 학습 경험이 독일어 어휘의 의미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독어학
, 제42권(집)
, PP.125~150
, 2020.12.31
독일어 수업의 사회적 형태 - 사회적 형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선호도 연구,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제44호
, PP.57~95
, 2019.07.31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노인 대상 독일어 교육에 관한 연구 - 학습 동기를 중심으로, 독어교육
, 제73권(집)
, 제73호
, PP.53~86
, 2018.12.31
독일어 학습자의 탈동기화 연구, 독어학
, 제38호
, PP.155~192
, 2018.12.31
교양 독일어 학습자의 동기 연구, 독어학
, 제35호
, PP.157~192
, 2017.06.01
노인 학습자를 위한 독일어 수업,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제59권(집)
, 제36호
, PP.153~186
, 2015.07.01
Materialentwicklung und Didaktisierung der interkulturellen Landeskunde im DaF-Unterricht -Handynutzung und Benimmregeln im kulturellen Vergleich von Deutschland und Korea-, 독어교육
, 제59권(집)
, 제59호
, PP.29~71
, 2014.05.01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수업 자료 개발- ‘음악’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 독어교육
, 제58권(집)
, 제58호
, PP.29~72
, 2013.12.01
EuroCom을 활용한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학습, 독어교육
, 제56권(집)
, 제56호
, PP.113~137
, 2013.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