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계원리(Principles of Accounting)
회계원리는 회계순환과정(부기)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한 회계의 기본개념, 회계정보의 이용방법 등을 수업하는 과목이다.
· 경영학원론(Principles of Management)
경영학원론은 기업을 설립,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본개념 및 실제를 수업하는 과목이다.
· 경제학원론(Principles of Economics)
경제학원론은 세무 및 회계학의 전반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경제이론, 경제정책 등을 수업하는 과목이다.
· 경영통계학(Business Statistics)
경영통계학은 사회과학의 연구방법에서 사용하는 통계기법 등에 대한 이론 및 실제를 수업하는 과목이다.
· 세법총론(Introduction of Tax Law)
세법총론은 국세기본법, 국세징수법, 조세범처벌법 등 국세와 관련한 기본적이고 전반적인 법률체계에 대하여 수업하는 과목이다.
· 중급재무회계(1)(Intermediate Financial Accounting(1))
중급재무회계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대부분의 내용에 대해 주제별로 전반적인 내용을 수업하는 과목으로서 중급재무회계(1)과
중급재무회계(2)로 구성되어 있다. 중급재무회계(1)에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전반부를 수업한다.
· 원가회계(Cost Accounting)
원가회계는 기업의 제품원가정보의 생성을 위한 개별원가계산 및 종합원가계산 등의 원리를 수업하는 과목이다.
· 경영정보론(Management Information)
경영정보론은 정보기술의 발전과정, 현황, 기업경영에의 전략적 활용 및 앞으로의 추세 등을 종합적으로 수업하는 과목이다.
· 법인세법(1)(Corporate Income Tax Law(1))
법인세법은 법인의 사업을 통하여 발생한 소득에 대한 법인세의 계산, 조정 및 신고 등에 대한 이해를 수업하는 과목으로서 법인세법(1)과
법인세법(2)로 구성되어 있다. 법인세법(1)에서는 법인세법의 내용 중 전반부를 수업한다.
· 재무관리(Financial Management)
재무관리는 기업의 재무조달과 운용에 대한 이론 및 실제에 대하여 수업하는 과목이다.
· 마케팅원론(Principles of Marketing)
마케팅원론은 전체적인 마케팅 시스템을 이해시키고, 거시적 마케팅 차원에서 유통시스템을 중심으로 하여 마케팅에 관한 기초를 수업하는
과목이다.
· 조직행위론(Organization Behavior)
조직행위론은 집단 및 조직내에서 인간의 활동을 설명하는 이론적 및 실증적 배경에 대한 설명과 그 행동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대인관계적 요인을 분석하는 과목이다.
· 회계원리연습(Practices in Accounting Principles)
회계원리연습은 회계원리를 수업한 학생을 대상으로 각 계정과목 및 회계순환체계를 더욱 심화된 내용으로 수업하는 과목이다.
· 세무회계론(Tax Accounting)
세무회계론은 국세 및 지방세의 전반적인 내용을 수업함으로써 세무회계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과목이다.
· 소득세법(Individual Income Tax Law)
소득세법은 개인 및 개인기업의 소득에 대한 소득세에 대한 세금계산 및 신고 등에 대해 수업하는 과목이다.
· 상법(Business Law)
상법은 기업을 설립, 운영함에 있어서 필요한 상행위, 회사 등과 관련한 법률을 수업하는 과목이다.
· 중급재무회계(2)(Intermediate Financial Accounting(2))
중급재무회계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대부분의 내용에 대해 주제별로 전반적인 내용을 수업하는 과목으로서 중급재무회계(1)과
중급재무회계(2)로 구성되어 있다. 중급재무회계(2)에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후반부를 수업한다.
· 관리회계(Managerial Accounting)
관리회계는 기업의 각종 의사결정에서 원가정보의 활용을 위한 여러 기법에 대하여 수업하는 과목이다.
· 소비세제법(Consumption Tax Law)
소비세제법은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등 소비세에 속하는 제반 세금에 대하여 수업하는 과목이다.
· 재정학(Public Finance)
재정학은 정부의 재원조달과 운영에 대한 이론 및 실제에 대하여 수업하는 과목이다. 특히 조세론에 대해 집중적으로 수업하는 과목이다.
· 고급재무회계(Advanced Financial Accounting)
고급재무회계는 중급재무회계의 과목에서 다루지 않은 연결회계 등 특정주제를 심도있게 수업하는 과목이다.
· 고급원가회계(Advanced Managerial Accounting)
고급원가회계는 원가회계의 과목에서 다루지 않은 특수의사결정 및 기법 등에 대하여 심도있게 수업하는 과목이다.
· 회계이론(Accounting Theory)
회계이론은 회계의 기본개념, 정보속성을 비롯 계정과목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수업하는 과목이다.
· 법인세법(2)(Corporate Income Tax Law(2))
법인세법은 법인의 사업을 통하여 발생한 소득에 대한 법인세의 조정 및 신고 등에 대한 이해를 수업하는 과목으로서 법인세법(1)과
법인세법(2)로 구성되어 있다. 법인세법(2)에서는 법인세법의 내용 중 후반부를 수업한다.
· 지방세법(Local Tax Law)
지방세법은 지방세와 관련한 총칙, 징수, 조세불복을 비롯 각종 지방세에 대하여 수업하는 과목이다.
· 재무제표분석(Financial Statements Analysis)
재무제표분석은 재무제표 등을 통해 재무회계정보를 분석하여 경영관리에 활용하는데 필요한 이론 및 실제를 수업하는 과목이다.
· 고급관리회계(Advanced Managerial Accounting)
고급관리회계는 관리회계의 과목에서 다루지 않은 분야를 심화하여 수업하는 과목이다.
· 회계감사(Auditing)
회계감사는 공인회계사의 회계감사절차를 중심으로 감사전반에 대한 이해를 수업하는 과목이다.
· 재산세제법(Properties Tax Law)
재산세제법은 부동산 등의 취득, 보유 및 양도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반 세금에 대하여 수업하는 과목이다.
· 국제조세법(International Tax Law)
국제조세법은 국제간의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과제를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수업하는 과목이다.
· 재무회계연습(Practices in Financial Accounting)
재무회계연습은 재무회계와 관련한 여러 사례 및 문제를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생산, 보고하는 것을 수업하는 과목이다.
· 원가회계연습(Practices in Cost Accounting)
원가회계연습은 원가회계와 관련한 여러 사례 및 문제를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생산, 보고하는 것을 수업하는 과목이다.
· 세무회계연습(Practices in Tax Accounting)
세무회계연습은 세무회계와 관련한 여러 사례 및 문제를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생산, 보고하는 것을 수업하는 과목이다.
· 세무조정실무(Practices in Tax Adjustment)
세무조정실무는 세무조정과 관련한 여러 사례 및 문제를 분석하고 실제로 세무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과목이다.
· 정부회계(Governmental Accounting)
정부회계는 정부가 행하는 예산 외의 복식부기에 대하여 이론 및 실제에 대하여 수업하는 과목이다.
· 관리회계연습(Practices in Managerial Accounting)
관리회계연습은 관리회계와 관련한 여러 사례 및 문제를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생산, 보고하는 것을 수업하는 과목이다.
· 회계감사실무(Practices in Auditing)
회계감사실무는 회계감사와 관련한 여러 사례 및 문제를 분석하고 실제로 회계감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과목이다.
· 세무전략 및 관리(Tax Strategy and Management)
세무전략 및 관리에서는 기업이 조세를 통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이론 및 사례를 수업하는 과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