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 인문 & 사회 | 자연 & 공학 | 예체능 |
---|---|---|---|
교육행정․리더십![]() | 국어교육![]() | 수학교육![]() | 미술교육![]() |
교수설계․교육미디어![]() | 영어교육![]() | 물리교육![]() | 체육교육![]() |
교육과정․수업컨설팅![]() | 일어교육![]() | 기계교육![]() | 스포츠문화행정전공![]() |
상담심리![]() | 윤리교육![]() | 전기교육![]() | |
창의성․영재교육![]() | 일반사회교육![]() | 전자교육![]() | |
유아교육![]() | 컴퓨터교육![]() | ||
아동예술심리치료![]() | 건축교육![]() | ||
역사 ![]() |
학교현장 및 교육행정 관련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제반 교육행정활동을 충분히 이해하고,이를 효과적으로 관리.추진해 나갈 수 있는 기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함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제반 교육행정 활동을 기술.설명하며, 관리.추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주요 개념, 원리, 이론 및 기술들을 중심으로 하여 강의가 편성·운영된다.
성 명 | 직 위 | 학 위 명 칭 | 전 공 분 야 |
---|---|---|---|
임정훈 | 교 수 | 교육학박사(서울대, 1999) | 교육공학, 교수설계, e-러닝 및 스마트러닝 |
한기순 | 교 수 | 철학박사(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2000) | 영재교육, 창의성 |
이지연 | 교 수 | 문학박사(이화여자대학교, 1992) | 상담심리, 상담기술, 대상관계이론 |
박용호 | 부교수 | Ph.D.(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08) |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
조태준 | 부교수 | Ph.D.(University of Ilinois at Urbana-Champaign, Department of Human Resource Education, 2011) | 리더십, HRM/HRD, 조직개발 |
김태성 | 부교수 |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HRD/OD 박사, 2014 | 인적자원 및 조직개발 |
이은설 | 조교수 | Ph.D.(University of Ilinois at Urbana-Champaign,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3) | 상담심리 |
학칙 제8조, 학칙시행세칙 제6조
학칙 제25조 내지 제27조, 학칙시행세칙 제16조, 제17조
학수번호 | 교 과 목 명 | 학점 | 비 고 |
---|---|---|---|
71-21-01 | 교육행정이론(Theor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2 |
71-21-01 교육행정이론(Theor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교육행정현상을 기술·설명·예언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이론들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교육행정 현상을
분석한다.
71-21-02 학교경영론(School Management)
학교경영의 계획·실천·평가의 전과정에서 원리와 실제를 파악하며 학교 경영의 효율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한다.
71-21-03 장학론(Supervision in Education)
장학의 개념과 기능을 규명하고, 중앙·지방 교육행정기관 및 단위학교에서의 장학의 유형과 방법을 분석하며, 장학 담당자로서의
역할과 자질을 탐색한다.
71-22-01 교육정책론(Educational Policies)
교육정책의 개념 및 유형, 형성 배경, 형성 과정, 집행 효과에 관련된 이론과 실제를 분석하며, 우리 교육정책의 개선방향을
탐색한다.
71-22-04 교육인사행정론(Educ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교육인사행정의 개념과 원리 및 이론을 분석하며, 교원의 양성, 신규채용, 승진, 근무평정, 현직연수, 신분보장 등에 관한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연구한다.
71-22-05 교육재정론(Educational Finance)
교육재정 및 교육비의 개념, 교육재정의 원칙, 교육예산의 편성과정 및 관리 기법 등을 연구하며, 우리나라 교육재정의 현황과
문제를 분석한다.
71-22-07 교육통계연구(Statistics in Education)
교육연구에 필요한 집단특성의 기술통계, 가설검증을 위한 추리통계를 비롯하여 각종 통계를 사용할 수 있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71-22-10 교육행정특강(Special Lectur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우리나라 교육행정의 중요한 문제나 당면과제를 도출ㆍ분석하고 이의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한 연구를 추진한다.
71-22-11 교육조직론(Educational Organization)
교육조직의 개념과 특성 및 그 구성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조직풍토, 조직건강, 조직발전 등에 대해 연구하며, 효과적인
교육조직의 관리·운영 방안을 탐색한다.
71-22-12 교육법(Educational Law)
교육관계 법규의 주요내용과 교육법규의 제정 및 시행과정을 연구하고, 교육관계 법규의해석과 적용 관한 사례를 분석·연구한다.
71-22-14 교육행정논문세미나(Semina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sis)
석사학위 논문작성에 필요한 연구계획서 작성요령, 문제 진술 방법, 자료수집 방법 및 분석 절차, 보고서 작성요령 등에 관하여
연구·토론한다.
71-22-24 교육행정 연구방법론(Reserch Methodology in Education Administration)
교육행정 분야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할 때,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양적 연구방법론과 질적연구방법론에 관하여 연구·토론한다.
2000011 인간관계와 리더십(Human Relation and Leadership)
교육행정기관 및 교육현장에서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인간관계 능력과 리더십에 관련된 개념, 원리, 이론들을 고찰하고,
인간관계 능력과 리더십을 발휘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2000064 교육리더십특강(Advanced Studies in educational Leadership)
교육행정기관, 교육연구기관 및 교육현장에서 지도자에게 요구되는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하여 교학상장의 인적네트워크를 토대로 필요한 이론과 기술을 연구한다.
2000147 인간관계의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in Human Relation)
유치원 및 초등‧중등 학교현장, 교육행정기관, 교육연구기관 및 교육연수기관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이 교직원‧학생‧학부모들과 효과적인 인간관계를 형성‧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 이해, 능력 함양에 필요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2000202 교육리더십의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in Educational Leadership)
유치원 및 초등‧중등 학교현장, 교육행정기관, 교육연구기관 및 교육연수기관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이 교직원‧학생‧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리더십을 형성‧발휘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 이해, 능력 함양에 필요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2000149 인간관계론 특강(Advanced Studies in Human Relation)
학교현장, 교육행정기관, 교육연구기관 및 교육연수기관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이 각 기관 내부에서 함께 활동하는 다른 구성원들 뿐 아니라, 기관 외부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다양한 이해관계집단의 구성원들과 좋은 인간관계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한다.
2000206 혁신교육세미나(Seminar in Education for Innovation)
혁신교육의 이론과 실천의 발전을 위하여 혁신교육에 관한 국내외 다양한 혁신교육의 실천 사례와 발전 방향을 분석하고 연구 주제를 탐색하여 연구를 추진한다.